[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4] 합덕제가 알려주는 내포평야 농업의 역사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34] 합덕제가 알려주는 내포평야 농업의 역사

서동철 기자
입력 2015-10-28 09:18
업데이트 2023-03-23 14: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는 옛 사람의 지혜와 기술을 종종 과소평가하곤 한다. 농업의 역사에서도 마찬가지다. 바다를 메워 간척을 하거나, 저수지를 만드는 노력은 생각보다 일찍 시작됐다. 김제 벽골제가 백제시대 축조된 저수지라는 것은 ‘삼국유사’에도 기록이 남아있다. 고려가 강화도로 수도를 옮겨 오랫동안 항전할 수 있었던 것도 간척사업으로 식량을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합덕제의 동쪽 제방 전경. 사진 오른쪽으로 방죽의 복원이 이루어진다.
합덕제의 동쪽 제방 전경. 사진 오른쪽으로 방죽의 복원이 이루어진다.
이미지 확대
합덕제 서쪽 모서리 부분. 석축을 매우 정교하게 쌓았음을 볼 수 있다.
합덕제 서쪽 모서리 부분. 석축을 매우 정교하게 쌓았음을 볼 수 있다.
 지금의 충청남도 서북부 지역, 이른바 내포(內浦)의 경우 오래 전부터 간척사업이 활발했고 방죽을 만들어 농업 용수 공급에 나섰다. 이 지역의 농업 용지와 용수를 인위적으로 확보하려는 노력은 빠르면 백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학자들은 보고 있다. 아직 문헌 증거를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은 대부분 민간사업이어서 기록을 남기지 않았기 문이다.

 오늘날 예당평야로 불리는 당진과 예산 일대의 평야는 그 상당 부분이 오래 전부터 간척사업에 따라 새로 만들어진 농토다. 당진 합덕제(堤)는 과거 내포평야로 불리던 이 곳에서 물 걱정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쌓은 인공 저수지였다. 저수면적만 103정보에 이르렀다.

 합덕제의 축조 시기는 두 가지 설이 있다고 한다. 후백제의 견훤이 왕건의 고려와 싸우고자 우물을 판 것이 시초하는 설이 그 하나다. 다른 하나는 ‘신증동국여지승람’의 ‘면천 산천’에 나오는 벽골지가 곧 합덕제로 삼한시대나 삼국시대 축조되었을 것이라는 설이다. 어쨌든 합덕제의 축조 시기는 고려시대 이전으로 올라가는 것은 확실하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미지 확대
야외전시장의 용두레 뒤로 합덕수리민속박물관이 보인다.
야외전시장의 용두레 뒤로 합덕수리민속박물관이 보인다.
 합덕제는 당진시 합덕읍 합덕리에 있다. 일대는 광활한 평야지대다. 합덕제 바로 옆에는 이 지역 농업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도록 2005년 세워진 합덕수리박물관이 있다. 합덕제는 1964년 예당저수지가 완공됨에 따라 역할을 잃으면서 논으로 바뀌었다. 합덕제의 서쪽 끝으로는 당진과 예산을 잇는 4차로 큰길인 예당평야로가 지난다. 이렇듯 예나 지금이나 예당평야와 합덕제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이미지 확대
합덕제 서쪽에 늘어선 비석들. 그 뒤로 예당평야로가 지나고 있다.
합덕제 서쪽에 늘어선 비석들. 그 뒤로 예당평야로가 지나고 있다.
 예당평야로가 고가도로로 이어지는 곳에는 합덕제와 관련된 비석이 줄지어 세워져 있다. 지금도 8개의 비석이 남아있는데, 가장 오래된 것은 영조 43년(1767)에 세워진 ‘연제중수비’다. 조선시대에는 연제(蓮堤)로도 불려졌음도 알 수 있다. 지금도 적지 않은 넓이의 연밭이 남아 있다. 동네 노인들의 이야기로는 과거에는 훨씬 더 많은 비석에 있었다고 한다. 오랜 역사 만큼이나 보수도 잦았음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인지 남아있는 제방의 석축은 매우 튼튼해 보인다.

이미지 확대
합덕제 미 합덕수리민속박물관과 지척인 천주교 합덕성당
합덕제 미 합덕수리민속박물관과 지척인 천주교 합덕성당
 당진군은 합덕제를 단계적으로 복원할 예정이다. 1771m의 석축제방을 복원해 과거 담수면적의 절반에 조금 못미치는 46만 769㎡의 방죽을 다시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합덕제는 김대건 신부의 생가인 솔뫼성지와 다블뤼 주교의 유적인 신리성지가 지척이다. 1929년 지어진 합덕성당은 합덕수리민속박물관에서 불과 200m 정도 떨어져 있을 뿐이다. 김대건 신부와 다블뤼 주교도 제방길로 자주 오갔을 합덕제가 복원되면 지역의 새로운 명소로 떠오를 것이다.

 합덕제는 관광용 저수지에 그치지 않을 것 같다. 최근 충남 지역의 가뭄으로 예당저수지도 바닥을 드러내면서 금강 백제보의 물을 관로로 수송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기후 변화에 따른 환경 변화는 예측하기 어렵다. 예당저수지 만으로 예당평야를 적시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 합덕제도 과거의 유물에 그치지 않고 수리시설로 다시 생명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다.

 글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strong>☞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 이야기’ 시리즈 전체보기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