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후원금 ‘묻지마 기부’ 빈번

국회의원 후원금 ‘묻지마 기부’ 빈번

입력 2012-03-08 00:00
수정 2012-03-08 11: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편법ㆍ이색지원 백태..품앗이 기부도

신원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채 국회의원에게 정치자금을 후원하는 관행이 점차 사라지고 있긴 하지만 근절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선관위가 8일 정보공개청구에 따라 공개한 ‘2011년 300만원 초과 기부자 명단’에 따르면 직업이나 주소, 연락처 등을 제대로 기입하지 않은 경우가 빈번했다.

또 지방의회 의원이 현역 국회의원을 후원하거나 국회의원끼리 품앗이 지원을 하는 사례도 있었다.

◇”신원을 알려하지 말라” = 연간 300만원 초과 기부자는 이름, 생년월일, 주소, 직업, 전화번호 등 인적사항을 기재해야 하지만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여전했다.

300만원 초과 기부 2천309건 중 직업을 기재하지 않은 경우는 18건으로 전체의 0.8%를 차지했다.

이 비율은 2004년 20.6%에서 2005년 8.3%, 2006년 5.2%, 2007년 1.8%, 2008년 0.9%, 2009년 3.2%, 2010년 0.4%였다.

직업을 밝히더라도 자영업, 회사원이라고 표현해 구체적인 직업을 알 수 없는 경우가 각각 419건, 393건이었고, 사업ㆍ사업가 301건, 기업가ㆍ기업인 47건, 대표ㆍ대표이사 32건 등이었다.

주소를 기재하지 않은 경우가 16건이었고, 전화번호를 표시하지 않은 사례가 7건이었다. 생년월일을 입력하지 않은 사례도 1건 있었다.

이름만 공개하고 생년월일, 주소, 전화번호, 직업을 아예 기재하지 않아 사실상 기부자의 신원을 확인할 방법이 전혀 없는 경우는 1건이었다.

◇지방의원의 후원 여전 = 지방의원이 국회의원에게 기부금을 내는 일도 여전했다.

부산 연제구의원 5명은 새누리당 박대해 의원에게 각각 500만원의 후원금을 기부했다.

수원 시의원 1명은 새누리당 정미경 의원에게, 고양 시의원 1명은 새누리당 김영선 의원에게 각각 500만원을 후원했다.

민주통합당 신낙균 의원의 한 비서관은 신 의원에게 350만원의 후원금을 냈다.

지방의원들이 후원금을 내는 것은 지방선거 공천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현역 국회의원들에게 ‘보험’을 들고자 하는 게 아니냐는 곱지않은 시선도 있다.

◇‘품앗이’ 기부 눈길 = 국회의원이 동료 국회의원에게 후원금을 내는 ‘품앗이’ 기부도 적지 않았다.

새누리당의 경우 고승덕 의원이 이두아 의원에게, 이은재 의원이 이범래 의원에게 500만원을 각각 후원했다. 김정권 의원은 자신에게 500만원을 기부했다. 주호영 의원은 무소속 김성식 의원에게 500만원의 후원금을 냈다.

민주통합당에서는 김충조 의원이 같은당 김성곤 의원에게 8차례에 걸쳐 460만원을 후원했다. 김충조 의원은 새누리당 차명진 의원에게도 500만원을 기부해 눈길을 끌었다.

최영희 이성남 박은수 의원은 손학규 상임고문에게 각각 400만원을 후원했다.

강성종 의원은 변재일 의원에게 500만원을 기부했다. 우윤근 의원은 국회 법사위 동료인 박영선 의원에게 500만원을 후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