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호 31일 출석… 검찰 수사 가속화
국무총리실 민간인 불법 사찰 및 증거인멸 사건을 재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은 30일 증거인멸 핵심 인물 가운데 한 명인 최종석(42)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현 주미 한국대사관 주재관)에 대해 증거인멸 교사 및 공용물건손상 교사 등의 혐의로 사전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지난 16일 재수사 착수 이후 구속영장이 청구되기는 처음이다.
뉴시스

30일 새벽 서울중앙지검에서 최종석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이 조사를 받은 뒤 귀가하고 있다.
뉴시스
뉴시스
스스로 증거인멸의 ‘몸통’임을 내세운 이영호(48)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은 31일 오전 10시 검찰에 출석하기로 했다. 이 전 비서관은 이날 출석에 불응했다. 사건이 4·11 총선과 맞물려 파장이 한층 커짐에 따라 검찰도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는 형국이다.
최 전 행정관은 지난 2010년 7월 7일 이 전 비서관의 지시를 받고 장진수(39)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에게 대포폰을 지급하며 “민정수석실 및 검찰과 다 조율됐으니 점검1팀원들과 진경락 기획총괄과장의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파기하라.”고 시킨 혐의를 받고 있다. 또 2010년 9월 이동걸(51) 고용노동부 장관 정책보좌관이 장 전 주무관에게 전달한 변호사 비용 4000만원 등에도 연루돼 있다. 그러나 최 전 행정관은 29일 부터 이날 새벽까지 이뤄진 검찰 조사에서 혐의를 강하게 부인했다. 검찰 측은 “최 전 행정관은 장 전 주무관을 설득하기 위해 자기가 민정수석실을 팔았다고 하는 등 대체적으로 관련 혐의를 다 부인하는 취지의 진술을 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민간인 불법 사찰을 주도한 김충곤(56) 전 지원관실 점검1팀장도 이날 오전 10시 소환, 불법 사찰과 함께 증거인멸의 ‘윗선’ 등을 추궁했다. 검찰 측은 “김 전 팀장이 진술을 거의 하지 않아 오후 3시쯤 귀가시켰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 전 비서관의 입을 여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이 전 비서관은 ▲사찰 배후 ▲ 증거인멸 지시 ▲매달 200만원씩의 지원관실 특수활동비 상납 ▲2011년 8월 이우헌(48) 코레일유통 유통사업본부장을 통해 장 전 주무관에게 전달된 2000만원 등 의혹의 한가운데 있다. 사안별 폭발력도 엄청나다.
검찰 측은 이 전 비서관의 출석을 놓고 실랑이를 벌였다. 검찰은 이 전 비서관과 통화가 안 돼 부인에게 30일 오전 10시까지 출석하라고 전하자 이 전 비서관의 변호인은 29일 밤 출석하지 못하겠다며 알려왔다. 게다가 이 전 비서관은 다음 달 2일 출석할 뜻을 전했다. 검찰은 31일 출석하라고 재통보했다. 검찰 안팎에서는 이 전 비서관이 29일 불법 사찰 명단이 공개된 것과 관련,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 출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김승훈기자 hunnam@seoul.co.kr
2012-03-3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