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캠프 “원칙과 신뢰 이미지 타격” 당혹

朴캠프 “원칙과 신뢰 이미지 타격” 당혹

입력 2012-07-12 00:00
업데이트 2012-07-12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체포 포기’는 비대위 시절 쇄신안 1호

11일 새누리당 정두언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부결되면서 원내대표단이 총사퇴하는 등 후폭풍이 일자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경선 캠프에서도 분주하게 움직였다. 이한구 원내대표가 곧바로 사퇴 의사를 밝히자 당황스러운 표정이 역력했으나 곧 물밑에서 상황을 파악하고 수습에 나섰다.

공식적인 언급은 최대한 자제하는 분위기였다. 이상일 캠프 대변인은 “박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 자리에 있었다면 나서서 입장표명을 할 수 있지만 대선 후보로 독자적 행보를 하고 있기 때문에 당의 일에 대해 언급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박 전 위원장 캠프의 정치발전위원인 이상돈 전 비대위원은 “뭐라고 할 말이 없다.”면서도 “무소속 박주선 의원과 정 의원의 경우 기술적인 면에서도 애매한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전 비대위원은 “당 대표가 (사퇴를) 반려할지도 봐야 하고 일단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 안팎에서는 지난해 12월 27일 박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을 맡은 뒤 첫 회의에서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을 포기하기로 한 만큼 박 전 위원장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약속을 반드시 지킨다는 원칙과 신뢰 이미지에 타격을 입는 게 아니냐는 것이다. 그러나 친박 내부에서는 이 원내대표가 빠른 결단을 내린 것이 오히려 다행이라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캠프 소속의 한 의원은 “정 의원 체포동의안이 부결된 것과 쇄신안은 다르게 봐야 한다.”면서 “이 문제는 절차상의 하자를 지적한 것이지 쇄신안을 포기한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의원도 “이 원내대표가 빨리 책임을 지겠다고 했기 때문에 새누리당과 박 전 위원장이 국회 쇄신 카드를 계속 가져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허백윤·최지숙기자

baikyoon@seoul.co.kr

2012-07-12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