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위안부 공식 영문명칭은 Sexual slavery”

외교부 “위안부 공식 영문명칭은 Sexual slavery”

입력 2012-07-26 00:00
업데이트 2012-07-26 1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교통상부는 ‘일본군 위안부’의 공식 영문명칭은 ‘Sexual slavery victims for the Japanese imperial army’(일본 제국군을 위해 징집된 성적노예 희생자)이라고 26일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우리 정부는 국제무대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제기할 때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군대 성적노예로 강제 동원된 소위 ‘군대 위안부’(the so-called ‘comfort women’, the victims who were forced into military sexual slavery during the Second World War)라는 영어표현을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the so-called comfort women’(소위 위안부)라는 표현은 공식 영어명칭이 아니라 이런 표현이 국제사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이해를 돕도록 쓰고 있다”며 “법률상 공식 영어 명칭은 ‘Sexual slavery victims for the Japanese imperial army’으로 국제무대에서도 이 표현을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위안부 문제를 이해하는 이들에게는 Sexual slavery victims(성적노예 희생자)라는 표현을 주로 쓰고 있다”면서 “유엔은 ‘comfort women’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Sexual slavery victims’라는 설명을 달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라는 한글 명칭을 유지하면서도 국제무대에선 위안부 문제를 더 정확하게 표현하는 영문 명칭인 ‘Sexual slavery victims’을 주로 사용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자 단체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도 일본군 위안부의 영문 표현으로 ‘일본군 성노예’(military sexual slave by Japan)’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한편,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지난 3월 한ㆍ미 외교장관 회담에서 위안부에 대해 ‘강요된 성노예(enforced sex slave)’라고 표현한 뒤 미국의 공식문서에서 ‘위안부(comfort women)’라는 용어의 사용을 금지토록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