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박근혜 후원금ㆍ공천헌금 집중 공세

민주, 박근혜 후원금ㆍ공천헌금 집중 공세

입력 2012-08-09 00:00
업데이트 2012-08-09 11: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통합당은 9일 새누리당 대선주자인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을 향해 맹공을 퍼부었다.

핵심 고리는 박 전 비대위원장의 후원금, 새누리당 공천헌금 파문 등이었다.

박기춘 원내수석부대표는 고위정책회의에서 “박근혜 후보의 후원자들은 정수장학회 관계자, 비리연루자, 유신시대 고위관료로 포진돼있다”며 “박 후보는 정수장학회 관계자들의 장학생”이라고 포문을 열었다.

그는 박 전 위원장의 후원내역을 일일이 거론하며 “(정수장학회 관계자인) 최필립 현 이사장과 그의 장남 장녀 차녀, 정수장학회 사무처장으로부터 4천500만원, 정수장학회 장학생 출신 모임으로부터 4천만원을 받았으며, 조카 한유진과 조카사위로부터 2004~2011년 3천300만원씩 6천600만원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후원 인사 대부분이 유신시대 고위관료를 지냈거나 관련 기업, 비리연루자 등으로 경제민주화나 복지정책과는 거리가 먼 인사들”이라고 비판했다.

박 전 위원장에게 후원금을 낸 사람 중에 지역구나 비례대표 공천 신청자가 있었다는 점도 거론됐다.

민병두 의원은 “17대 총선 서울 지역구 공천신청자 중 한명이 2천만원을, 이번에(4ㆍ11총선에) 비례대표 공천을 신청한 장모씨가 17대 대선 경선 때 1천만원, 이모씨가 17대 대선 경선 당시 1천만원, 윤모씨가 2008년에 400만원을 내는 등 공천신청자로부터 총 4천300만원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 분들 중에서 공천받은 사람은 없다”면서도 “(박 후보가) 당 지도부 위치에 있었을 때 어떤 사람이 공천 신청할지 예견할 수 있었다면 이런 후원금은 관리하는 게 정상적이지 않았나”라고 지적했다.

민 의원은 “고액 기부자 중 직업과 주소를 명기하지 않은 사람이 각각 27%, 13%나 된다. 같은 집안에서 이름을 빌려 법정한도를 넘어선 기부한 걸로 볼 수 밖에 없다”며 “이런 기부 관행이 과거 한나라당, 새누리당을 지배해서 오늘날과 같은 공천헌금 사태가 발생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새누리당 공천헌금 사건에 대해서도 공세의 고삐를 더욱 죄었다.

이석현 의원은 “새누리당이 종교단체도 아니니 공천헌금이 아닌 공천뇌물이라고 써야 한다”며 “현영희 의원이 (비례대표) 23번인데 3억 플러스 알파를 냈다면 그 앞 번호는 얼마를 냈는지 검찰이 수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진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공천헌금 사건으로 수세에 몰렸던 새누리당이 민주당의 대의원 명부 유출사건을 계기로 민주당을 역공하는 것에 대해 “새누리당의 물타기가 눈물겹다”고 반박했다.

그는 “새누리당은 220만명 당원 명부를 통째로 헐값에 판 것이고 민주당은 2만3천명 대의원 명부가 나간 것”이라며 “시스템상으로도 (공천과정에서) 새누리당은 결정적 영향력을, 민주당은 아무런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새누리당은 돈을 쓰면 국회의원이 되고 민주당은 돈을 써도 먹히지 않는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다는 게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