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文-安, ‘대표 공약’ 직접 챙긴다

朴-文-安, ‘대표 공약’ 직접 챙긴다

입력 2012-10-14 00:00
업데이트 2012-10-14 10: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국민통합’ 문재인 ‘일자리’ 안철수 ‘두바퀴경제’

여야 대선후보들이 역점 공약에 대한 실천의지를 강조하기 위해 선대위 및 캠프 내 특정 기구의 ‘사령탑’을 맡아 진두지휘에 나섰다.

이미지 확대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가 13일 오전 상암동 월드컵공원에서 열린 과학기술 나눔 마라톤 축제에 참석, 사회자의 요청으로 어깨동무를 하며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가 13일 오전 상암동 월드컵공원에서 열린 과학기술 나눔 마라톤 축제에 참석, 사회자의 요청으로 어깨동무를 하며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국민대통합 기구,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는 일자리 기구를 각각 책임지겠다고 밝혔고, 무소속 안철수 후보는 ‘두바퀴 경제’ 공약의 성안에 공을 쏟고 있다.

12ㆍ19 대선을 66일 앞둔 14일 현재까지 대선판을 뒤흔들 여야 대선후보의 ‘메가톤급 공약’이 없는 상황에서 그동안 역점을 기울여온 ‘대표 브랜드’로 승부수를 던지겠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지난 2007년 대선 때도 당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는 선대위 산하 경제살리기특위 위원장을 맡은 바 있어 대선후보의 ‘주요 공약 직접 챙기기’는 일종의 트렌드로 자리 잡는 양상이다.

‘국민대통합’을 시대정신으로 강조한 박근혜 후보는 ‘100% 대한민국대통합위원회’ 위원장을 직접 맡았다. 또한 앞으로 제시될 공약을 점검하기 위한 공약위원회 위원장도 겸했다.

박 후보는 지난 11일 중앙선대위 인선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번 선거에서, 앞으로 새정부에서 국민대통합이 꼭 실천해야 할 시대적 과제라는 생각에서 직접 위원장을 맡게 됐다”고 밝혔다.

한광옥 전 민주당 상임고문 국민대통합위원장 영입설(說)을 둘러싼 내부 진통 끝에 나온 ‘고육지책’이라는 시각도 있지만 국민대통합이 최우선 과제임을 거듭 강조한 것이기도 하다.

선대위 핵심관계자는 “모든 국정운영의 목표와 역량을 국민대통합에 두고 국민행복을 실현하겠다는 것”이라며 “경제민주화, 정치쇄신, 인사탕평, 동서화합 등 모든 것이 국민통합과 연결돼 있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후보는 선대위의 정책 중심인 미래캠프 내 ‘일자리혁명위원회’의 위원장직을 맡았다.

문 후보는 대선후보로 선출된 직후 첫 정책행보로 일자리 간담회를 가졌고, 당시 “경제민주화와 복지를 관통하는 것이 결국 일자리”라고 말하는 등 일자리 정책에 무게중심을 싣고 있다.

이 같은 맥락에서 문 후보는 ‘좋은 일자리를 만(만)들고 나(나)누고 기존의 나쁜 일자리를 좋은 일자리로 바(바)꾸겠다’는 ‘만ㆍ나ㆍ바’ 일자리혁명 정책을 제시한 바 있다.

한 핵심관계자는 “문 후보가 바쁜 일정에도 가급적 일자리혁명위원회의 회의에 참석하거나 직접 논의ㆍ결정사항을 챙길 것”이라고 밝혔다.

안철수 후보는 직접 특정 기구ㆍ조직의 장(長)을 맡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두 바퀴 경제’로 표현되는 경제정책 구상을 정책ㆍ공약에 담기 위해 캠프 내 혁신경제포럼의 논의 과정을 주도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위원장’ 등의 형식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두 바퀴 경제’는 경제민주화와 복지가 한 바퀴를 이루고 혁신경제가 다른 한 바퀴를 이뤄 일자리 창출을 중심으로 끊임없이 선순환하는 경제시스템을 일컫는다는 게 안 후보 측의 설명이다.

안 후보 측 핵심인사는 “안 후보 본인이 지식산업경제에 있어 나름의 성과를 거둔 인물 아니냐”며 “미래지향적이고 공정한 기업ㆍ산업 생태계를 만들고 실패자도 재기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골격을 제시하고 논의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