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기 ‘조선민족’ ‘남녘’ 북한식 표현을‥

이석기 ‘조선민족’ ‘남녘’ 북한식 표현을‥

입력 2013-09-02 00:00
업데이트 2013-09-02 13: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란음모 등의 혐의로 사전구속영장이 청구된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이 ‘통합진보당 RO(Revolutionary Organization) 비밀회합’에서 강연할 때 북한식 표현을 곳곳에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2일 연합뉴스가 입수한 ‘통합진보당 RO 회합 녹취록’ 요약문에 따르면 이 의원과 RO 구성원들이 지난 5월 서울 합정동의 한 종교시설에서 진행한 모임에서 한 발언들에는 눈에 띄는 북한 용어들이 적잖게 등장한다.

우선 이석기 의원은 모임 강연에서 ‘한민족’을 뜻하는 ‘조선민족’이라는 북한식 표현을 자주 사용했다.

북한은 한국을 ‘남조선’이라고 부르며 ‘조선은 하나다’라고 주장한다. 또 “북에 살건 남에 살건 해외에 살건 관계없이 조선민족이라면 누구나 다 조국통일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며 ‘우리민족끼리’를 강조한다.

“조선민족의 입장에서, 주체적이고 자주적으로 정세를 바라봐야 한다”는 이 의원의 발언은 청년 시절 김일성 주석의 연설을 연상케 한다.

김 주석은 1930년 중국 창춘(長春) 카륜 지역에서 열린 조선청년공산주의자들의 회의에서 ‘조선혁명의 진로’라는 연설을 통해 당시의 정세를 ‘주체적으로’ 바라본 데 기초해 “즉각 무장을 잡고 일제와의 판가리 싸움에 떨쳐나서자”고 호소했다.

이 의원이 언급한 ‘남녘의 혁명가’ 중 ‘남녘’이란 표현도 북한에서 자주 사용한다. 북한의 소학교(초등학교) 교과서에는 “남녘땅의 어린이들은 배가 고파 쓰레기통을 뒤진다”는 내용이 등장하기도 한다.

이 의원이 강연에서 사용한 ‘필승의 신념’ ‘모략책동을 분쇄하고’ ‘사상적 무장’ 등의 표현도 북한 당국이 체제결속과 주민들의 동요를 막기 위해 항상 사용하는 용어다.

이 의원은 강연에서 “제2의 고난의 행군을 각오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또한 북한이 1990년대 중반에 혹독하게 겪은 최악의 경제난을 ‘고난의 행군’이라고 일컫는다.

이 의원 외에 다른 RO 멤버들의 발언에서도 ‘주체역량 강화’(박민정 전 중앙당 청년위원장), ‘각자의 초소’(우위영 전 통합진보당 대변인) 등 북한의 ‘전투적 용어’들이 등장했다.

이밖에 일부 언론이 공개한 ‘RO 회합 녹취록’에도 ‘조중혈맹’ ‘간고분투(艱固奮鬪)’ 등의 북한에서 사용하는 표현들이 나온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