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년 “교학사 교과서 자료사진 인터넷서 대거 인용”

김태년 “교학사 교과서 자료사진 인터넷서 대거 인용”

입력 2013-09-06 00:00
업데이트 2013-09-06 15: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뉴라이트 성향의 한국현대사학회 출신 학자들이 집필해 우편향 논란이 이는 교학사 역사 교과서에 실린 자료 사진들이 구글과 네이버 등 인터넷의 사진을 대거 인용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민주당 김태년 의원
민주당 김태년 의원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주당 김태년 의원은 6일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교학사 역사 교과서가 외부 인용사진의 58.3%(561개 중 327개)를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인용했다”고 밝혔다.

우편향 논란이 집중적으로 제기된 근현대사 4·5단원에서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 사진 인용 비율이 각각 67.5%(148개 중 100개), 82.7%(87개 중 72개)에 달했다.

김 의원은 대표집필자인 권희영 교수가 쓴 현대사 부분은 인용사진 87개 중 86개가 모두 인터넷 홈페이지 검색으로 얻을 수 있는 사진이고, 단 1건만 (뉴라이트 계열) ‘교과서 포럼’이 집필한 ‘대안교과서’에서 인용했다고도 주장했다.

김 의원은 “(임시정부 독립운동 소식을 전하던) ‘이승만 단파방송문’을 디시인사이드 게시판에 올라와 있는 것을 그대로 가져다 쓰는 등 정확한 사료를 표시하고 고증해야 할 사료탐구 자료에도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인용 사진의 설명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의원은 “제주 4·3 사건과 관련해 ‘군경의 설득으로 하산해 심문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주민들’이라는 설명의 사진은 원래 미국 국립기록관리청 자료로, 정황상 체포당한 주민들의 사진일 수 있어 의도적 왜곡이 엿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교과서는 사진의 출처를 충남 공주시의 모 교회 홈페이지로 표시했다”며 사진 인용 절차상의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교과서는 가장 신뢰도 높은 자료를 바탕으로 써야 하는데 인터넷만 검색해 책을 만들다 보니 신뢰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교과부는 기본도 갖추지 못한 교수들의 교과서를 검정한 셈”이라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