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여·야 3자회담] 사안마다 충돌… 90분간 불신의 벽만

[청·여·야 3자회담] 사안마다 충돌… 90분간 불신의 벽만

입력 2013-09-17 00:00
업데이트 2013-09-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정원 개혁 현격한 인식차 혼외아들 논란도 해석차 확연

박근혜 대통령과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16일 국회 3자회담에서 결국 높은 불신의 벽만 확인했다. 두 사람은 1시간 30분 동안 대화의 접점을 찾지 못한 채 현 상황에 대한 현격한 인식 차를 보이며 설전을 벌였다.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의혹과 국정원 개혁, 채동욱 검찰총장 사의 표명 파문, 민생문제 등 크게 3가지 주제가 테이블에 올랐지만 사안마다 덜컹거렸다.

회담 시작부터 충돌했다. 박 대통령은 민생을 강조하면서 “여러 가지 오해가 있었던 부분은 서로 풀고 또 추석을 앞두고 국민들께 희망을 드릴 수 있는 결과가 나올 수 있도록 잘 됐으면 한다”고 운을 뗐다. 그러나 김 대표는 “일련의 민주주의를 훼손한 책임이 있다” “민주주의의 근본을 허무는 헌정 유린행위” 등의 격한 용어를 사용하며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국정원 개혁에 대해 김 대표는 국회에 국정원 개혁특위 설치를 제안하면서 “국정원의 대선개입에 대해 대통령이 사과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국정원 개혁은 확고하게 하겠다. 강도 높은 국정원 개혁안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선(先) 국정원 자체 개혁 후(後) 국회 논의’라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정국 경색을 불러온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문제에 대해서도 김 대표는 대선 당시 새누리당 총괄선대본부장이었던 김무성 의원이 부산 서면 선거유세에서 회의록 내용을 언급한 부분을 지적하며 사전 유출 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다.

박 대통령은 “이미 그전에 회의록 상당 부분이 사실 여하를 떠나 국회에서도 얘기되고 있었기 때문에 인용했을 뿐 무단으로 유출해 얘기한 것은 아니다”고 응수했다. 또 대통령 사과에 대해서는 “내가 직접 관여한 게 아니라서 사과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채 총장의 혼외 아들 논란에 대해서도 인식 차가 뚜렷했다. 김 대표는 채 총장 사태에 대해 “검찰 무력화 시도”라면서 청와대 민정수석과 법무부 장관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채 총장이 의혹을 밝히는 어떤 조치도 하지 않는 마당에 법무장관이 감찰권을 행사한 것은 법적 근거를 갖고 진실을 밝히자는 차원에서 잘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채 총장의 의혹과 관련해 박 대통령은 “언론을 통해 처음 접했다”고 했지만 김 대표는 “신문에 난 소문 정도를 보고 초유의 감찰을 하고 뒷조사를 할 수 있느냐”고 되받았다. 이어 김 대표가 “채 총장이 유전자 검사를 받겠다고 했는데 사퇴를 시키느냐”고 문제를 제기하자 박 대통령은 “그래서 사표를 안 받는 것 아니냐. 진상조사가 끝날 때까지 사표 처리를 하지 않겠다”고 맞받아쳤다.

여야의 반응도 극명하게 갈렸다. 유일호 새누리당 대변인은 “민주당은 민생보다는 현재 수사 중인 국정원 관련 문제, 혼외 자식 논란으로 도덕성 문제가 불거진 채 총장 문제에 집착했다”면서 “회담을 망친 민주당은 국민에 사과해야 한다”고 비난했다.

반면 김관영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국민의 기대와 달리 불통으로 일관한 박 대통령은 국정의 최고 책임자로서 사실상 회담 결렬에 관한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3-09-17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