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 전대 막판 파행 조짐
새정치민주연합 2·8전당대회가 여론조사 경선 규칙을 둘러싼 문재인, 박지원 후보 간 신경전으로 파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이하 전준위)가 일반 당원 및 국민 여론조사 방식에 대한 문 후보 측의 문제 제기를 수용하면서 대회를 약 일주일 앞두고 ‘뇌관’이 터진 것이다.박 후보 측은 ‘거취 문제’까지 언급하며 배수의 진을 치고 나섰다. 다만 박 후보는 “누가 좋으라고 사퇴를 하겠나. 끝까지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 전준위는 2일 전체회의를 열고 지도부 경선 결과에 25% 반영되는 일반 당원(10%)·국민(15%) 여론조사에서 ‘지지 후보 없음’ 선택을 유효 투표로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 여론조사 득표율 계산에서 ‘지지 후보 없음’이라는 답을 원천 배제하고 100%로 환산하는 방안을 표결한 결과다. 전준위원 자격으로 참석한 15명 중 11명이 찬성했고 4명은 기권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곤 전준위원장은 “(전체회의에서) 각자의 의견을 개진한 후 합의를 보려 했으나 합의가 어려워 최종적으로 표결을 했다. 기권한 사람 중 2명은 전준위에서 이 문제를 다루는 것 자체에 반대한다는 단서를 달았다”고 설명했다.
문 후보 측 입장이 반영된 결과가 나오자 각 후보가 받은 득표율을 그대로 반영하자는 입장을 냈던 박 후보 측은 즉각 반발했다. 박 후보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반칙 없는 세상을 만들자고 했다. 꼭 이렇게까지 반칙을 하면서 당 대표가, 대통령 후보가 되려 하는가. 참으로 참담한 심정을 금할 길이 없다”며 “전준위는 무슨 자격으로 이런 결정을 내렸는가”라고 비난했다. 이어 박 후보는 “이런 반칙에 대해 주위 분들과 거취를 상의하겠다”고 경선 거부도 불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날 진행된 한 종합편성채널의 TV토론회에서도 박 후보는 “이렇게까지 해서 문 후보가 당 대표가 되겠다고 하는 건지, 또 대통령 후보가 되겠다고 하는 것인지 답답하다”며 “12월 29일 안을 몰랐다고 하면 무능한 것이고 알았다고 하면 비열한 것이다”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문 후보는 “당시 지지 후보 없음을 어떻게 할지는 확정하지 않았다”며 반발했다.
앞서 박 후보 측은 지난해 12월 29일 확정된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시행 세칙’을 근거로 응답자 설문 항목에 후보자와 ‘지지 후보 없음’을 모두 포함시켜 ‘득표율’을 계산하자고 주장했고 문 후보 측은 ‘지지 후보 없음’이라는 항목 자체가 없었던 2013년 5·4전당대회 여론조사 경선 규칙을 참고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5-02-0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