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호 野혁신위원 인터뷰
“친노(친노무현)와 86그룹(1960년대 출생 80년대 학번의 운동권 출신)인 저와 제 주변은 분명 혁신의 대상입니다.”최인호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
특히 부산대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국회의원 노무현의 비서관을 지냈고, 참여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부대변인 및 국내언론비서관 등을 지낸 최 위원의 인선에 의혹이 쏠렸다. 이에 대해 최 위원은 “평소 친노에 대해 ‘벽이 있어 접근할 수 없다’, ‘니들끼리 한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 여러 사람들이 지적한다면 전혀 근거 없는 이야기는 아니다”라며 친노 그룹의 폐쇄성에서 비롯된 당 안팎의 부정적 시선을 시인했다.
최 위원은 “곱지 않은 시선으로 보는 이들의 목소리에는 귀를 닫았던 게 사실”이라며 “노무현 정부에 대한 좋지 않은 평가를 하는데 무조건 인색한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친노에 대해 쓴소리를 하면 ‘알레르기’ 반응만을 일으킬 것이 아니라 스스로 돌이켜 보는 계기를 가져야 한다”며 “때로는 과감하고 개방적인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80년대 운동권 출신 인사들 역시 새정치연합의 위기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말했다. 최 위원은 “직접 나서서 당과 정치문화를 바꿔 보려고 하기보다는 기존 세력에 기대고 편하게 가려는 성향이 있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이어 “86그룹은 ‘여의도 정치’에 익숙해져 엘리트화돼 버렸다”며 “야당 불모지에서 뛰고 있는 김부겸·김영춘 전 의원에게서 교훈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위원은 “먼저 내려놓겠다는 식의 경쟁이 자발적으로 이뤄지면 혁신도 수월해진다”며 “그 출발은 현역 의원들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혁신의 바람을 일으키려면 친노와 86그룹을 비롯한 모든 계파에서 총선 불출마 선언 등 ‘기득권 내려놓기’에 대한 선의의 경쟁이 이뤄져야 한다는 얘기다. 다만, 그는 “혁신위에서 특정 지역과 그룹을 물갈이 대상으로 논의한 적은 없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5-06-20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