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악 근원’ 공천제도 혁신…정치권 부정부패 척결”공존정치 회의체 제안…”민주주의 3.0”’정당 민주화’ 최고 가치로…당청 협력도 강조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취임 1주년 기자회견에서 내년 4월 총선 승리를 최고의 목표로 꼽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두 개의 축을 제시했다.특히 18,19대 총선에서 높은 지역구 지지율을 기록하고도 연거푸 공천 탈락이라는 쓰라린 경험을 거친 김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정당 민주주의 완성’으로 규정했다.
김 대표는 “대한민국의 보수는 대한민국을 세계 일류국가의 반석에 올려놨다”면서 “이러한 영광의 역사를 계속 이어가고, 미래를 위해 새누리당은 내년 총선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 “공천권, 만악의 근원”, “끊임없는 혁신” = 김 대표는 우선 지난해 7·14 전당대회에서 “공천권을 행사하지 않기 위해 당 대표가 되려고 한다”는 자신의 공약을 상기시키며 오픈프라이머리 실행을 통한 공천 혁명을 다시 한번 약속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진두지휘 했던 지난해 7·30, 올해 4·29 재·보궐선거의 압승 요인도 이런 상향식 공천으로 꼽았다.
특히 기존의 ‘줄 세우기식’ 공천을 “만악의 근원”이라고 규정지으면서, 공천 문제만 해결되면 정치권 부조리와 부정부패의 90%는 없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과거와 같은 공천권 행사가 계파 갈등을 촉발하고 당의 체질을 허약하게 하는 ‘암 덩어리’와 같은 존재라는 인식인 셈이다.
이미 당론 채택을 주도했던 김 대표는 공천 개혁을 이뤄내기 위해 야당에도 오픈프라이머리를 같은 날 동시에 실시하자고 제안했다.
여당만 오픈프라이머리를 실시할 경우 상대 당 지지자가 본선을 대비해 전략적으로 가장 약체 후보를 선택하는 이른바 ‘역선택’의 우려를 제기하는 당 일각의 반대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오픈프라이머리가 전격 도입될 경우 결과적으로 청와대와 친박(친박근혜)계의 공천 지분권을 인정하지 않게 돼 또다시 계파간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근 유승민 원내대표 사퇴 정국의 이면에도 비박계 중심의 당 지도부를 최대한 흔들어 공천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려는 주류의 의도가 깔린 것이라는 정치적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이어 김 대표는 ‘끊임없는 혁신’을 총선 승리의 중점 가치로 삼았다.
당 대표 선출 직후 잠재적 대권 경쟁자인 김문수 전 경기지사를 보수혁신특위 위원장으로 임명하고 ▲불체포특권 포기 ▲출판기념회 금지 ▲무회의 무세비 원칙 적용 ▲겸직 금지 강화 등 ‘특권 내려놓기’를 실천한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 나왔다.
가치 혁신의 지향점으로는 ‘포용적 보수’, ‘서민적 보수’, ‘도덕적 보수’, ‘책임지는 보수’ 등을 제시했다.
이처럼 총선 승리를 위한 혁신을 거듭 강조한 것은 여권 내 가장 강력한 차기 주자로 자리 잡은 김 대표가 자신의 경쟁력을 입증하는 동시에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홀로서기’를 하기 위해서는 총선 승리가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진다.
◇ 국회선진화법 개정·공존정치 회의체 제안 = 김 대표는 이와 함께 다수당의 직권 상정을 제한한 국회법 개정안(선진화법)의 재개정을 강조했다.
특히 19대 국회가 ‘식물 국회’라는 오명을 뒤집어쓴 데는 민주주의의 기본인 ‘다수결의 원칙’이 무시되는 선진화법의 폐해가 크다고 보고, 어느 진영이 다수당이 될지 모르는 20대 국회에서 개정하자고 주장했다.
’폭력 국회’를 지양하기 위해 도입된 선진화법을 수정하는 데 대한 대안으로 여야 대표간 ‘공존정치 회의체’ 신설을 제안했다.
이런 연장선상에서 김 대표는 합의 민주주의 시대를 열자며 이를 ‘민주주의 3.0’으로 명명했다.
이어 김 대표는 최근 시행령의 국회 수정권을 강화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로 당청간 긴장 관계를 의식한 듯 “정부와 보조를 맞춰 경제활성화에 최우선 역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또 새누리당의 앞으로 항로를 ‘3고’(후진 정치를 바꾸고, 어려운 경제를 살리고, 선거에서 승리하고)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