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국정원 직원 자살 파문] “내국인·선거 사찰 없었다… 대북 활동 자료 삭제, 실수였다”

[’해킹’ 국정원 직원 자살 파문] “내국인·선거 사찰 없었다… 대북 활동 자료 삭제, 실수였다”

한상봉 기자
한상봉 기자
입력 2015-07-19 17:58
업데이트 2015-07-19 22: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서 내용으로 본 자살 배경

19일 경찰이 공개한 국가정보원 직원 임모(45)씨의 유서 내용은 “내국인이나 선거에 대한 사찰은 없었고 자료 삭제는 실수였다”는 게 주요 골자였다.

 임씨는 국정원장·차장·국장 등 직속 상관에게 남긴 유서에서 “동료와 국민들께 큰 논란이 되게 되어 죄송하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업무에 대한 열정으로, 그리고 직원의 의무로 열심히 일했다”면서 “지나친 업무에 대한 욕심이 오늘의 사태를 일으킨 듯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말 내국인에 대한, 선거에 대한 사찰은 전혀 없었다”고 밝힌 뒤 “외부에 대한 파장보다 국정원의 위상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혹시나 대테러, 대북 공작활동에 (오해를 일으킨) 지원했던 자료를 삭제했다. (이는) 저의 부족한 판단이 저지른 실수였다”고 설명했다. 임씨는 “그러나 이를 포함해서 모든 저의 행위는 우려하실 부분이 전혀 없다”면서 “저와 같이 일했던 동료들께 죄송할 따름”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앞으로 저와 같은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잘 조치해 달라. 국정원 직원이 본연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한 치의 주저함이나 회피함이 없도록 조직을 잘 이끌어 달라. 감사하다”며 유서를 마무리했다.

 국정원에 남긴 이 내용은 임씨가 남긴 A4용지 3장 분량의 유서 가운데, 세 번째 장에 들어 있었다. 유서는 노란색 바탕에 가로줄이 그어진 기록용지(리걸패드)에 자필로 작성했다. 가족에게 남긴 나머지 2장의 유서에는 “미안하다”는 내용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전해졌으나 유족들의 거부로 언론에 공개되지는 않았다. 박지영 용인동부경찰서장은 “가족들에게 남긴 유서는 순수 가족과 관련된 내용만 포함돼 있으며, 가족끼리는 업무와 관련해서는 얘기를 잘 안 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임씨는 문제가 된 해킹 프로그램을 직접 구입하고 사용한 사이버안보 전문가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국회 정보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이철우 의원은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 브리핑에서 “이 직원은 20년간 사이버 안보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사람”이라면서 “이리(현 전북 익산)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전북 모 대학 전산과를 졸업해 이 분야에서만 계속 일을 해 온 친구”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직원은 자기가 어떤 (해킹) 대상을 선정하는 사람이 아니고, (타부서에서 해킹) 대상을 선정해 이 직원에게 알려주면 기술적으로 이메일에 (해킹 프로그램을) 심는다든지 그런 작업을 하는 기술자”라고 소개했다. 임씨의 가족관계에 대해서는 “딸이 2명인데 큰딸은 사관학교에 입학했고, 둘째 딸은 고교 3학년생”이라면서 “그는 가정적으로 전혀 문제가 없는 모범적 가장이었고 직원들 간 신망이 두터웠으며 정말 일을 잘하는 사람으로 평가받았다”고 말했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5-07-20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