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正常’ 교과서 vs ‘朴定’ 교과서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正常’ 교과서 vs ‘朴定’ 교과서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5-10-12 22:42
수정 2015-10-13 02: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총선 앞두고 ‘네이밍 전략’ 치열

정치권의 ‘역사 전쟁’이 확전 일로다. 여야는 정치적 사활을 건 이념 프레임 전쟁에 뛰어들었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지지층 결속이 필요한 시점이다 보니 여야 모두 사생결단의 태세를 갖추고 있다.

새누리당은 야당을 ‘종북’ 프레임에 가두는 데 주력했다. 김무성 대표는 1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좌파 성향의 민족문제연구소, 역사문제연구소 소속 교사·교수가 대거 집필진에 참여하고 있고 6·25가 침략 전쟁이 아닌 민족 통일 전쟁이라고 주장한 교수도 포함됐다”고 주장했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김대중 정부 때 한국사 교과서가 국정이었다”며 “그렇다면 김대중 정부가 유신체제냐”고 야당의 공격에 반박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친일·독재’ 프레임으로 여당을 공격했다. 문재인 대표는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국정교과서는 친일을 근대화라고 미화하는 친일 교과서, 독재를 한국적 민주주의라고 찬양하는 유신 교과서”라고 비판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박정희 전 대통령은 군사 쿠데타, 박근혜 대통령은 역사 쿠데타, 부전여전”이라고 힐난했고 오영식 최고위원은 “이런 정권이 일본 아베 신조 정권의 역사 왜곡을 비난할 자격이 있느냐”고 따졌다.

여야는 행정예고 기간 20일 동안 펼쳐질 여론전에서 승부가 날 것으로 보고 있다. 누가 더 대중의 귀에 쏙쏙 박힐 구호나 단어를 내놓느냐가 관건이다. 정부와 여당은 역사 교과서 ‘국정화’ 대신 ‘단일화’, ‘정상화’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정권의 입맛에 맞는 교과서 제작 가능성에 대한 세간의 의심을 씻어내려 하고 있다. 이날 교육부가 ‘올바른 역사 교과서’로 명명한 것도 친일 미화 교과서가 탄생할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다.

새정치연합은 이날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국정’이라는 단어를 60여 차례 언급하며 박근혜 정부의 ‘독재’ 가능성과 연결시키려 애썼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박 대통령에 의해 내용의 틀이 정해진다”며 ‘박정 교과서’라는 표현을 썼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5-10-13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