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구 국방부 장관 “軍도 교과서 집필에 참여”

한민구 국방부 장관 “軍도 교과서 집필에 참여”

김형우 기자
김형우 기자
입력 2015-11-06 08:55
수정 2015-11-06 08: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군(軍)이 국정 역사교과서 집필에 참여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논란이 예상된다.

한 장관은 지난 5일 오후 속개된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기호 새누리당 의원의 “일본지배하 있던 시절 독립군의 활동, 이것도 교과서에 잘못된 부분이 상당 부분이고 4.3사건에 대해서도 실제 우리 군이 아주 폄하돼 있고 6·25전쟁에 대해서도 일부 잘못 기술돼 있고 월남전에 대해서도 그렇다. 이번에 교과서 작업을 하는데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에 “지적한 사항은 교육부에서 지적한 바 있고 이번에 군에서 교과서 집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협조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의원 질의에 공감을 표하는 수준을 넘어 집필에 참여하는 방안을 교육부와 협의 중이라는 한 장관의 발언은 사실상 국방부가 직접 교과서 집필에 참여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이다.

정부가 국정 역사교과서 집필 과정에 군까지 동원해 노골적으로 우편향된 시각을 투영하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앞서 김정배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은 4일 집필진 공개 관련 기자회견에서 “6·25 전쟁처럼 큰 아픔이 있었던 시기에는 군사 연구하신 분, 헌법 하신 분도 참여해 평면적이 아니라 입체적이고 정확히 서술하겠다”면서 근현대사 집필에 ‘군사’(군 역사) 전문가 참여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김형우 기자 hw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