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방법 동원해 국정화 저지”
새정치민주연합은 6일 정부의 역사교과서 국정화 확정 고시에 반발해 시작한 국회 농성을 중단했다. 지난 2일 농성에 돌입한 이후 나흘 만이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가 6일 오전 야당의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열리고 있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오늘 의원총회에서 우리 당은 오로지 민생 우선을 위해 9일부터 모든 국회 일정을 정상화하기로 만장일치로 결정했다”며 “오늘 (저녁)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문화제에 참석하면서 국회 농성을 해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 당은 정부·여당이 역사교과서 국정화 강행을 포기할 때까지 모든 방법을 동원해 끝까지 저지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새정치연합은 지난 2일 정부의 국정화 확정고시 방침이 알려지자 이에 항의해 국회 본회의장 앞 로텐더홀에서 농성에 들어갔고, 이후 예정된 본회의는 물론 상임위까지 참석하지 않아 국회가 파행했다.
이날 등원 결정은 정부가 고시를 확정한 마당에 농성으로 얻어낼 것이 없는데다 국회 파행 장기화시 민생을 외면한다는 역풍을 맞을 것이라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새정치연합은 오는 8일 오후 여야 원내대표단 회담을 추진해 내년도 예산안,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등 정기국회 주요 현안 처리 문제를 논의하기로 했다.
또 국회 파행으로 연기된 강호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와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여야 합의가 이뤄지는 대로 빠른 시일 내에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예결위의 예산안 심사와 관련, “국회가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못한 기간 일방적으로 진행된 예결위 심사는 절대 인정할 수 없다”며 “다시 여야 협상을 통해 그 기간을 보장받고 예산이 어떻게 쓰여야 할지 심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우리가 빠진 (질의)부분은 다시 해야 한다”며 “국정교과서 추진과 결정 과정의 예비비 편성 등 쟁점에 대해서는 황우여 교육부 장관에게 강하게 질의하고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한국형 전투기(KF-X) 문제에 대해 “우리는 국정조사나 (계약) 개정을 요구했는데 새누리당은 해상 상임위에서 논의하는 것을 해답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제관련법 처리 문제에 대해서는 “일명 경제활성화법은 빠른 시일 내 통과를 논의해 서로 합의된 부분에 대해 처리할 생각”이라며 “저희도 청년일자리 관련법, 중소기업 활성화법 등 10개 정도를 새누리당에 건네준 상태”라고 전했다.
이 수석부대표는 본회의 개최 일정과 관련, “새누리당은 10일 본회의 소집을 요구한 상태”라며 “8일 원내대표 합의 결과에 따라 될 수도 있고 늦어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밖에 여야가 국회 내에 경제민주화·민생안정특별위원회를 설치키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