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공개일정 없이 이틀째 자택서 내홍 돌파구 모색 安, 기자간담회 취소…비주류 ‘문·안·박’ 거부 압박
새정치민주연합이 고(故) 김영삼(YS) 전 대통령의 조문정국 속에서도 계파별로 긴박한 물밑 움직임을 보이며 내년 총선 지도 체제를 둘러싼 ‘셈법’에 분주한 모습이다.다음달 정기국회 마무리 후 당을 총선체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문재인 대표가 제안한 이른바 ‘문·안·박(문재인·안철수·박원순) 공동지도부’가 성사될지가 선결과제로 대두돼 있다.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주변의 의견을 들어보겠다”며 장고하는 가운데 문 대표는 전날에 이어 24일에도 구기동 자택에 머물며 사실상 칩거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오후 예정된 당 차원의 YS 합동 분향에도 불참한다.
문 대표는 오는 25일 광주에서 현장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한 뒤 아시아문화전당 개관식에 참석할 예정이었지만 개관식 행사에만 합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표는 26일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 역시 김 전 대통령의 서거와 맞물려 적절치 않다고 판단해 연기했다.
문 대표 측은 감기몸살로 휴식을 취하고 있다고 설명하지만 ‘문·안·박 구상’ 성사를 위한 묘책 강구와 함께 안 전 대표의 입장 표명 이후 당 운영방안을 골몰하고 있다는 것이 대체적인 관측이다.
특히 안 전 대표 측이 구체성·절박성·진정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내놓은데다 안 전 대표 역시 가부 간 입장을 밝히지 않아 좀더 진전된 메시지를 고민 중이라는 시각도 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창원 경남대를 방문해 ‘공정 성장 토론회’를 개최하지만 ‘문·안·박 구상’에 대한 입장은 밝히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이날 부산에서 예정한 기자간담회를 취소했다.
문 대표 측은 안 전 대표가 ‘문·안·박 카드’를 거부한다면 ‘문·박 체제’만으로라도 출발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다수다.
문 대표 측 관계자는 “총선을 준비하려면 각종 기구 설치 등 일정이 빠듯하다. 물리적 시간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비주류인 ‘민주당의 집권을 위한 모임’은 ‘문·안·박 제안’이 문 대표의 기득권 유지를 위한 꼼수라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조만간 안 전 대표에게 제안 거부를 타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집모의 한 핵심 의원은 “‘문·안·박’ 부분이 결론나야 우리도 무엇을 할지 결정할 수 있다”며 “안 전 대표가 YS 영결식 다음날인 27일에라도 입장을 밝히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