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험지출마 태풍’, 지도부·장관·수석은 비켜가나

與 ‘험지출마 태풍’, 지도부·장관·수석은 비켜가나

입력 2015-12-29 11:24
업데이트 2015-12-29 1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누가 명망가냐 놓고 ‘갑론을박’…“장관했어도 정치판에선 신인” “현 정부 고관대작이 1차대상” vs “소모품으로 쓰겠다는 거냐”오세훈·안대희·김황식·조윤선 놓고도 물밑에서 옥신각신

새누리당의 내년 4·13 총선 ‘수도권 험지출마론’을 둘러싸고 당내 백가쟁명이 전개되고 있다.

험지에 깃발을 꽂을 ‘결사대’로 누가 나설지를 놓고 전국적 명망가를 비롯해 현 정부 고위 인사나 당 지도부까지 거론되는 한편, 이들에게 오히려 ‘우대권’을 줘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핵심 당직자는 29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험지출마 대상은 수도권 어디에 내놔도 당선될 명망가에 한정해야 한다”며 “전직 장관이나 청와대 수석비서관도 유명 인사이긴 하지만, 이들을 명망가로 부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김무성 대표가 최근 잇따라 접촉, 험지출마를 권유한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나 안대희 전 대법관 등을 장관·수석과 같은 ‘급’으로 놓고 봐선 안 된다는 것이다. 이들의 출마 지역은 서울 관악, 강서, 광진 등이 점쳐진다.

다른 당직자도 연합뉴스에 “험지출마를 할 명망가는 대중 정치인으로서 기반이 탄탄해야 하는데, 현 정부에서 장관이나 수석을 지냈다고 해서 이들이 정치적 기반을 갖췄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견해를 밝혔다.

그러나 비박(비박근혜)계를 중심으로 현 정부의 ‘고관대작’ 출신이야말로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해 험지출마에 앞장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용태 의원은 전날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험지출마론의 첫 번째 대상은 박근혜 정부에서 장·차관을 지냈던 사람들, 그리고 청와대에서 수석이나 수석급 이상으로 영향력을 발휘했던 비서관들”이라고 규정했다.

정종섭 행정자치부 장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곽상도 전 민정수석, 윤두현 전 홍보수석, 전광삼 전 춘추관장 등을 가리킨 것이다. 이들은 모두 새누리당의 텃밭인 영남 지역에 출마했거나 출마를 준비 중이다.

이에 대한 친박(친박근혜)계의 반응은 싸늘하다. 선거를 치러보지 않은 장·차관이나 수석은 명망가라기보다는 정치 신인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홍문종 의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장관이나 수석을 지냈다는 이유만으로 일반 유권자에게 호소력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큰 착각”이라며 “연고지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조건 험지에 나가라는 건 소모품으로 쓰겠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친박계 내부에선 안 전 대법관이나 김황식 전 국무총리 역시 정치적으로 신인에 가까운 만큼 비례대표 앞순위를 부여해 정치권에 연착륙하도록 돕고, 조윤선 전 정무수석의 경우 여성 우선추천 대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기류도 감지된다.

험지출마론의 ‘전도사’ 격인 김 대표부터 텃밭인 자신의 지역구(부산 영도)를 떠나 험지로 나서야 한다는 ‘솔선수범론’도 여전한 상황이다.

김 대표가 “제 지역구의 지역주민들에게 심판을 받도록 하겠다”며 거부 의사를 밝혔지만, 정몽준 전 대표나 김 전 총리 등을 총선 판에 끌어들이려면 김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가 헌신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논리에서다.

당 관계자는 “험지를 지역구로 두지 않은 김 대표가 다른 사람에게 험지를 권하는 게 앞뒤가 안 맞는 것처럼 비칠 수는 있다”면서도 “당 대표로서 지역구를 떠나 선거운동을 진두지휘해야 할 역할도 무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