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여론조사 유출로 친박·비박 ‘공수 역전’되나

與 여론조사 유출로 친박·비박 ‘공수 역전’되나

입력 2016-03-04 13:19
업데이트 2016-03-04 13: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선추천 통한 ‘비박 컷오프’에 제동 해석

새누리당에서 4·13 총선 공천을 위한 사전 여론조사 결과 유출을 놓고 파문이 확산하면서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 간 역학 관계에 미묘한 변화 조짐이 감지된다.

지난 주말 터진 ‘비박 살생부’ 사태는 진앙이 된 김무성 대표가 “공천관리위의 공정성을 저해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사과하면서 일단락되자 외형상으론 이한구 위원장에 힘이 실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던 게 사실이다.

이후 이 위원장은 우선·단수추천지역을 광역별로 할당하고, 예비후보 간 합의가 어려울 경우 100% 국민 경선을 하겠다며 친박계의 뜻과 궤를 같이하는 발언을 내놔 비박계의 반발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반대로 이번에 유출된 여론조사 결과에는 물갈이론의 시발이 된 대구에서 상당수 비박계 의원이 소위 진박(眞朴·진실한 친박) 후보를 앞선 것으로 나타나면서 오히려 현역 의원 ‘컷오프’가 어려워졌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당의 강세 지역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뒤집고 현역 의원을 배제한 채 현 정권 주류 측 인사를 내세울 경우 집단 반발이 일 수 있어서다.

이에 따라 과거 전략공천과 사실상 성격이 같은 ‘우선추천’을 확대해 친정 체제를 구축하겠다는 친박 주류의 구상에도 제동이 걸렸다는 식의 해석도 가능하다.

최근 공격의 주도권을 잡은 듯 했던 친박계가 다시 비박계로부터 역습을 당할 계기가 제공된 셈이다.

친박계가 이번 유출 파문의 배후로 비박계를 강하게 의심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한 친박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여러 자료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심사를 하더라도 공천에서 탈락하면 이번 문건을 근거로 반발하지 않겠느냐”면서 “의도적으로 여론조사 결과를 유포해 상황을 유리하게 끌고 가려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친박 의원은 “정확한 경위도 모르는데 공관위를 운영하는 데는 별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사태 봉합에 무게를 뒀다.

원유철 원내대표도 기자들과 만나 “지금 유출된 것은 진본이 아니라는 보고가 있었다”면서 “또 여론조사는 기초자료이기 때문에 당장 공천을 결정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위원장이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공관위 관계자의 연루 가능성을 강하게 부인한 것도 이 같은 기류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진본 유출 여부를 떠나 공관위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보고를 받은 것은 사실인 만큼 이 위원장이 직접 전면에 나서 유출 파문 책임론이 공관위에까지 번지는 것을 차단하고 나선 셈이다.

이 위원장은 “위원들은 자료를 본 뒤 예외 없이 반납하게 돼 있다”면서 “유출이라면 다른 데서 유출을 됐을 것이며 중앙선관위를 포함한 권위 있는 기관이 빨리 조사에 착수해 진실을 규명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나 비박계는 비박계대로 공관위에 원칙적 책임을 추궁하며 공관위 차원의 철저한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한 비박계 의원은 “이 위원장이 다른 곳으로 책임을 떠넘기려고 하는데 옳지 못하다”면서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공관위가 책임지고 진상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비박계 의원은 “조사의 개요를 포함한 실체도 불분명한 조사를 통해 현역 의원을 탈락시키려는 것 아니냐”면서 “주류 측의 물갈이 시도가 드러난 것으로 본다”고 의심했다.

또 다른 비박계 의원은 “클린공천위원회의 자체 조사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수사권이 있는 검찰에 의뢰해 명백히 조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유출 사태를 비박계의 작전으로 보는 일각의 의구심을 불식시키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김무성 대표는 이번 유출 사건과 관련해 철저한 진상 조사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주변에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