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원구성 때까지 세비 안 받겠다”… 더민주 “유치”

安 “원구성 때까지 세비 안 받겠다”… 더민주 “유치”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16-06-01 22:48
업데이트 2016-06-01 23: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하지 않고 돈 받는 국민은 없어”… 새누리 “협상판 깬 이유나 답해라”

19대 국회에 이어 20대 국회에서도 여야 간 ‘세비 반납’ 논란이 재현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민의당은 1일 20대 국회에서 법정 시한 내 원 구성이 완료되지 않으면 세비를 반납하겠다고 선언했고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은 부정적인 뜻을 표했다.

국민의당 안철수(얼굴) 상임공동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국회가 제때 일을 시작하지 못한다면 국민의당은 원 구성이 될 때까지 세비를 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회의 공백은 국정에 대한 감시와 견제의 공백으로 이어지고 그 피해는 국민에게 돌아간다”며 이같이 밝혔다.

안 대표는 “20대 국회의 정상적인 출발은 국민과의 약속”이라면서 “한국 어디에도 일하지 않고 버젓이 돈 받는 국민은 없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박지원 원내대표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관영 원내수석부대표가 다른 당에 세비 반납 제안을 했는데 부정적인 답변을 받은 걸로 안다”면서 “안 대표가 ‘우리 당만이라도 하자’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9대 국회에서는 원 구성이 개원 한 달 뒤 이뤄지면서 새누리당이 세비를 반납했다. 당시 이한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한달치 세비를 자진 반납하겠다고 결정하면서 일부 의원들의 반발을 샀다. 더민주의 전신 민주통합당은 “정치 쇼”라며 비판했다.

더민주는 이번에도 세비 반납은 불가능하다는 뜻을 밝혔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들과의 오찬 자리에서 “우리가 월급에 연연하는 것도 아닌데 모욕감을 느낀다”며 불쾌감을 표시했다.

우 원내대표는 “국회의원 세비에 대해 시비를 거는 것이 제일 유치하다”면서 “그렇게 말하면 남북 대화가 1년여간 이뤄지지 않고 있으니 통일부 장관은 1년치 월급을 반납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새누리당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야당이 잘 진행 중이었던 원 구성 협상판을 왜 깨뜨렸는지부터 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앞서 19대 국회 때도 새누리당이 세비를 반납하기로 결정했는데 당시 의원총회를 거쳐 결정했었다”면서 “이는 원내지도부가 바로 결정할 문제가 아니라 의원들의 총의를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6-06-02 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