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경선룰 놓고 安-孫측 평행선…경선 흥행 성공할까

국민의당 경선룰 놓고 安-孫측 평행선…경선 흥행 성공할까

입력 2017-03-03 13:39
업데이트 2017-03-03 13: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자 간 경선룰 합의 불발 시 5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결정

국민의당이 경선 룰 협상이 난항을 이어가면서 경선 흥행에 ‘빨간불’이 켜졌다.

안철수 전 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 간에 현장투표·공론조사·여론조사 비율 등을 놓고 신경전이 고조되는 데다, 중앙당의 중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현재까지 협상 진행 상황을 고려할 때 경선 흥행요소를 찾기가 쉽지 않다는 분석이 전문가들 사이에 나오고 있다.

사실상 선거인단 모집을 하지 않고 현장투표소에서 누구나 투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절충되고 있는 탓이다.

경선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국민이 참여할지 가늠하기 어려운 ‘깜깜이 경선’을 진행하게 되는 셈이다.

민주당이 지난달 27일 선거인단 모집 12일 만에 100만 명을 돌파하며 흥행 기록을 세워가는 것과는 사뭇 다른 상황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손 전 대표 측 요구에 따라 인터넷 및 ARS 경선 투표를 제외하고 현장투표를 하게 돼 참여율이 저조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여기에 역선택에 대한 우려 또한 걷어내야 한다.

이에 대해 국민의당 관계자는 전화통화에서 “후발주자들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선 흥행보다는 공정성을 우위에 둘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3일 전화통화에서 “대선 경선이 선거인단 모집을 통해 대중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이끌어내 흥행을 유발하고 본선에서 잠재적 지지층을 확대하는 목표도 갖고 있는 데, 이와는 다른 선택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장투표를 관리하는 방안도 최대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선거인단을 모집하지 않아 중앙선관위 위탁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당이 전체 시·군·구에 투표소를 설치하고 관리해야 한다.

당이 이를 무난하게 관리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지만, 이를 담보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현장투표가 ‘차떼기’ 등 조직동원 선거 논란이 야기될 경우 경선 효과가 반감될 가능성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안고서 흥행 포인트를 찾아야 되는 숙제를 안고 있는 셈이다.

이런 가운데 이날도 경선 룰과 관련한 신경전이 이어졌다. 손 전 대표 측의 박우섭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정한 흥행을 위한 경선룰은 약자 배려하는 게 필요하다“면서 안 전 대표 측 일부 실무자들이 시도당 조직본부에 선거운동 관련 문자메시지를 보낸 데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 이에 박 대표는 구두로 주의를 주기도 했다.

박 대표는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현재 여론조사를 20%로 하느냐, 30%로 하느냐로 좁혀지고 있다고 한다“고 말했지만, 안 전 대표 측과 손 전 대표 측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국민의당은 이날 경선 룰 협상도 불발될 경우 오는 5일 오후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최종 결정을 내기로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