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우다웨이 방한…미중회담후 북핵·사드 논의 전망

中우다웨이 방한…미중회담후 북핵·사드 논의 전망

입력 2017-04-10 15:08
업데이트 2017-04-10 15: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자수석 협의서 미중정상회담 내용·中입장 전할 듯

이미지 확대
북핵 6자회담 중국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10일 오전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우 특별대표는 북핵 문제와 관련한 한중 공조 방안을 협의한다.  연합뉴스
북핵 6자회담 중국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10일 오전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하며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우 특별대표는 북핵 문제와 관련한 한중 공조 방안을 협의한다.
연합뉴스
북핵 6자회담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10일 방한했다.

우 대표가 탑승한 여객기가 이날 오전 11시20분께 인천공항에 착륙했다.

공항에서 취재진과 만난 우 대표는 별다른 언급 없이 ‘감사하다’고만 말했다.

이번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는 작년 12월 9일 베이징(北京)에서 개최된 이후 약 4개월 만으로, 우 대표의 방한은 지난해 2월 이후 1년여 만이다.

우 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도렴동 청사에서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 및 만찬을 하며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우 대표의 이번 방한은 6∼7일 열린 미중 정상회담에서의 북핵 관련 협의 내용과 정상회담 이후 북핵 해법,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에 대한 중국 정부 기류, 중국 정부가 파악한 북한 동향 등을 청취하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특히 미중 정상회담과 그에 앞선 시리아 공습, 최근의 미 칼빈슨 항공모함 전단의 한반도 이동 등을 통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이 북핵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미국이 나선다’는 메시지를 행동으로 전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중국의 반응이 주목된다.

아울러 김 본부장과 우 대표는 북한이 김일성 생일(15일), 최고인민회의(11일) 등 주요 일정을 계기로 핵실험과 같은 고강도 도발에 나설 가능성에 주목, 도발시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보인다.

4∼5일 정도 한국에 체류할 것으로 알려진 우 대표는 또 방한 기간 대통령 선거 각 후보 캠프 관계자들과 접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계기에 우 대표는 자국의 대북 기조인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 필요성을 강조하고, 사드 반대 입장도 거듭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