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美 군사압박에 미사일 발사 시도…“발사직후 폭발”

北, 美 군사압박에 미사일 발사 시도…“발사직후 폭발”

입력 2017-04-16 10:29
업데이트 2017-04-16 1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함남 신포일대서 발사시도…지난 5일 발사한 것과 유사 기종

북한은 미국의 군사 압박에 맞서 16일 탄도미사일 발사를 시도했으나 발사 직후 폭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오늘 오전 6시 20분께 함경남도 신포 일대에서 1발의 불상 미사일 발사를 시도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합참은 “실패한 미사일의 기종 등 세부 내용은 분석 중”이라고 설명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 기종 등에 대해서는 정밀 분석 중이지만, 발사 직후 폭발한 것으로 파악되어 정확한 기종 식별에는 제한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보 당국의 한 관계자는 “오늘 발사 실패한 미사일은 지난 5일 신포 일대서 발사된 것과 같은 계열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면서 “지상 발사시설에서 멀리 날아가지 못하고 폭발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미국 태평양함대 사령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시도를 확인하고 “미사일은 거의 발사 직후 폭발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 5일 오전 6시42분에 같은 장소에서 탄도미사일 1발을 발사했으나 비정상적으로 60여㎞를 비행하다가 동해상에 추락한 바 있다.

당시 한미는 발사된 미사일을 KN-15(미국이 북극성 2형에 부여한 명칭) 계열로 추정했으나, 미국 군 당국 일각에서는 스커드-ER로 분석하기도 했다.

지난 5일 추락에 이어 11일 만에 또 발사를 시도해 폭발한 것은 북극성 계열의 새로운 미사일 개발 또는 스커드-ER의 고체 엔진 개량작업 등이 순조롭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달 들어 두 차례 발사가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 일환일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북한이 전날 개최한 김일성 생일 105주년 열병식에서 한 축의 바퀴가 7개인 트레일러에 탑재한 신형 ICBM 원통형 발사관 등을 공개한 데 이어 이날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군사적으로 북한을 압박하고 있는 미국에 대한 일종의 ‘무력시위’ 일환으로 분석된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2인자인 마이크 펜스 부통령의 방한에 맞춰 미사일 도발을 시도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펜스 부통령은 이날 오후, 2박 3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해 17∼18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총리와의 회담, 정세균 국회의장 면담, 주한 미국상공회의소 연설, 주한미군부대 방문 등 일정을 소화한다.

중국 중앙(CC)TV는 이날 미사일 발사 시도는 북한에 대해 군사압력을 가중하고 있는 미국에 대한 “무력시위” 의도가 있다고 평가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오는 25일 인민군 창건 85주년을 전후로 탄도미사일을 또 발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