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ICBM 도발’에 文대통령 독일 연설문 대폭 수정

北 ‘ICBM 도발’에 文대통령 독일 연설문 대폭 수정

입력 2017-07-05 10:35
업데이트 2017-07-05 1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靑 관계자 “이런 국면서 ‘평화 얘기’ 하기 어렵다”

북한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미사일 도발의 영향을 받아 한반도 평화를 주제로 한 문재인 대통령의 독일 연설도 대폭 수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는 제재·압박과 별개로 대화 기조는 유지한다는 방침에 따라 대화의 복원을 골자로 한 담론을 내놓으려 했지만 현 상황에서는 그런 메시지가 먹혀들지 않으리라 판단한 것이다.

문 대통령의 이번 독일 방문 중 가장 이목을 끈 일정은 쾨르버 재단 초청 연설이었다.

독일이 베를린 장벽을 허물고 통일을 이룬 곳인 만큼 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구축 구상을 밝힐 만한 명분과 조건이 충분했다.

청와대는 애초 남북 간 화해 무드가 조성됐던 민주정부 10년 때 수준의 분위기를 회복하는 것을 골자로 한 연설을 준비했다고 한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우리가 주도권을 쥐고 남북관계를 이끌겠다는 동의도 받아낸 이상 ,독일서 밝힐 문 대통령의 ‘쾨르버 구상’의 비중은 과거와 다를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그러나 북한의 미사일 도발로 청와대의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됐다.

개발 성공 시 미국의 본토까지 타격할 수 있다는 ICBM 발사의 성공을 주장하는 상황에서 과거의 화해 무드로 돌아가자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지게 되면서다.

국민은 물론이고 함께 북핵 문제를 풀어가야 할 미국·중국·일본·러시아 등 열강의 동의를 받기도 어려워 보인다.

청와대 측도 이런 분위기를 인정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쾨르버 연설문’이 대폭 수정됐다”면서 “‘베를린 선언’ 수준으로 하려고 했는데 상황이 이래서 들어낼 것은 들어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 국면에서 평화를 얘기할 수 있겠는가”라며 “‘베를린 선언’ 같은 거창한 것은 없다”고 못 박았다.

결국 북한의 이번 도발을 두고 ‘무력도발은 원천봉쇄하고 말이 아닌 행동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진 만큼, 독일 연설에서는 이를 공개적으로 천명하는 데 무게가 실리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우세하다.

북한의 도발이 이어지면 문 대통령의 2단계 비핵화 해법은 ‘북한의 핵동결 약속 및 도발 중단’이라는 ‘입구’ 근처에도 가보지 못한 채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만 북한이 이번 도발을 감행했다고 해서 단계적 해법 방식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기는 어렵다.

문 대통령이 계속 밝혀 온 대북 관계의 큰 원칙이 대화와 제재·압박의 병행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이번 연설에서도 대화의 가능성은 여전히 열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