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핵·미사일 협상 없다’ 공언…몸값 높이기?

김정은 ‘핵·미사일 협상 없다’ 공언…몸값 높이기?

입력 2017-07-05 11:24
업데이트 2017-07-05 1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례적으로 직접 언급 의도 주목

북한의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라고 주장하는 ‘화성-14’ 시험발사를 참관하며 미국과의 핵 협상 불가를 언급해 그 의도에 관심이 쏠린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5일 김 위원장이 전날 ‘화성-14’ 시험발사를 참관하고 나서 “미국의 대조선 적대시 정책과 핵 위협이 근원적으로 청산되지 않는 한 우리는 그 어떤 경우에도 핵과 탄도로켓을 협상탁에 올려놓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그동안 북한 매체에서 핵협상 불가 방침을 되풀이 해 왔지만 김 위원장이 핵·미사일 협상에 대한 불가 입장을 직접 언급한 것은 이례적으로 주목된다.

나아가 김정은은 “우리가 선택한 핵 무력 강화의 길에서 단 한 치도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면서 “앞으로 심심치 않게 크고 작은 ‘선물 보따리’들을 (미국에) 자주 보내주자”고 말했다.

이는 북한이 현재로서는 미국과의 핵 협상에 나설 생각이 전혀 없을 뿐 아니라 자신들의 계획에 따라 핵·미사일 개발과 대미 도발을 지속하겠다는 분명한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과거에도 핵·미사일은 협상용이 아니며 미국의 ‘핵 위협’에 대응한 자위적 조치라고 주장했으며, 거듭된 핵실험과 미사일 시험발사는 노동당의 핵심 노선인 ‘핵 무력·경제건설 병진’ 정책의 집행이라고 의미를 부여해왔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번 ICBM 발사와 관련해 “최고영도자 동지께서 올해 안에 미국 본토 타격 능력을 보여줄 대륙간탄도로켓 시험발사를 반드시 단행할 확고한 결심과 의지를 지니시고 그 준비사업을 진두에서 직접 조직·지휘했다”며 김 위원장의 결심과 계획에 따른 것임을 밝혔다.

앞서 김 위원장은 올해 1월 1일 신년사에서 “대륙간탄도로켓 시험발사 준비사업이 마감단계에 이르렀다”며 ICBM 발사를 예고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집념이 이른바 ‘국력’ 강화를 통해 주민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주고 김정은 체제에 대한 충성을 끌어냄으로써 내부 결속을 다지려는 목적과 연관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김 위원장이 ‘미국의 대북 적대 정책과 핵 위협의 근원적 청산’이라는 전제조건을 제시한 것은 미국이 대북정책을 전환할 경우 북미 협상에 나설 수도 있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다만 북한이 제시한 핵 협상 조건과 “북한의 핵 동결이 대화의 입구”라는 한미 양국의 대화 조건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북한과의 대화는 당분간 쉽지 않을 전망이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김정은의 발언으로 미뤄 북한은 미국이 전략무기의 한반도 철수 등 북한에 대한 위협을 완화할 경우 미국과 핵 협상에 나설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지속적인 핵·미사일 개발은 핵무기 보유국의 지위를 인정받은 상태에서 미국과 대화 테이블에 앉겠다는 의도로, 앞으로의 북미 협상 국면에서 몸값을 높이기 위한 포석”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