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금명간 위안부합의 검토보고서 日에 사전설명

정부, 금명간 위안부합의 검토보고서 日에 사전설명

강경민 기자
입력 2017-12-25 16:26
업데이트 2017-12-25 16: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검토TF, 27일 보고서 발표 앞두고 막판 문안작업 중”

조준형 백나리 기자= 정부는 오는 27일 발표 예정인 한일위안부합의 검토 TF(태스크포스, 이하 위안부합의 TF)의 검토 결과를 금명간 일본 측에 설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25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외교부 장관 직속 위안부합의 TF(위원장 오태규)의 검토 결과 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외교부는 합의 상대방인 일본 측에 보고서 내용을 조만간 설명할 예정이다.

소식통은 “TF가 보고서의 막바지 문안 작업을 진행중인 것으로 안다”며 “문안이 마무리되는 대로 일본 측에 외교 경로를 통해 사전설명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일본 방문 중이던 지난 20일 진행한 도쿄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TF 보고서가 나오기 전에 (내용을 일본 측에) 상세히 설명하겠다. 그렇게 하는 것이 외교적인 예의다”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합의에 앞선 피해자 의견 수렴 부족 등 합의의 문제점에 대해 민간 중심의 시각에서 냉정한 평가를 담을 것이라고 정부 소식통은 전했다.

특히 일본이 합의 후 ‘적반하장식’ 태도를 보이는 빌미를 제공했다는 지적을 받는 ‘최종적·불가역적’이라는 문구가 합의문에 포함된 경위도 보고서에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정부 시절인 지난 2015년 12월 28일 이뤄진 한일 위안부 합의는 피해자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충분히 거치지 않은 채 ‘최종적·불가역적 해결’을 선언한 점, 주한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과 관련한 문구를 담은 점 등이 거센 비판을 받아 왔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 출범후 강경화 장관의 결정에 따라, 언론인 출신인 오태규 위원장을 비롯해 한일관계, 국제 정치, 국제법, 인권 등 다양한 분야 민간위원 및 외교부 부내위원 등 총 9명으로 구성된 위안부 TF가 지난 7월 31일 정식 출범했다.

TF는 ‘피해자 중심주의’에 입각해 외교 자료 검토 및 관계자 조사, 피해자 의견 청취 등을 통해 위안부 합의 관련 협의 경과 및 내용 전반에 대한 검토를 벌여왔다. nari@yna.co.kr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