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기호 1번 사수’ 작전… 현역 출마 자제령

민주당 ‘기호 1번 사수’ 작전… 현역 출마 자제령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8-02-04 22:18
업데이트 2018-02-04 2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방선거 현역 잇단 출마에 고심

한국당과 4석差…2당 전락 우려
‘1당 유지’위해 현역 배제로 가닥
이개호에 전남지사 불출마 요청
충북지사 후보 놓고도 내부 갈등


더불어민주당이 4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6·13 지방선거 전략을 놓고 깊은 고민에 빠졌다. 민주당으로서는 문재인 대통령과 당의 유례없이 높은 지지율을 기반으로 그 어느 때보다 지방선거 승리에 대한 자신감이 컸다.

그러나 광역단체장을 떠나 기초단체장까지 출마하려는 현역의원의 규모가 커지자 자칫 ‘원내 1당’ 지위는 물론 지방선거 시 ‘기호 1번’ 위치까지 잃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지방선거의 계절이 본격 시작되는 3월 전에 현역의원의 교통정리를 끝내야 하는 상황이다.

민주당은 일단 ‘지방선거에서 이기고 보자’에서 ‘1당 유지’로 전략을 틀었다. 최근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남북 단일팀 구성이나 최저임금 인상 후폭풍 등으로 흔들리는 것을 보고 안심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지지율이 높아 재·보궐선거도 이길 수 있다는 이야기도 심심찮게 나왔지만 현재 쑥 들어간 상태다. 오히려 누가 나가도 이길 수 있는 지역은 현역의원 출마를 사실상 배제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 전남과 충북 등이 대표적인 지역이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4일 “전략적 요충 또는 접전이 예상되는 지역에 한해 현역의원 출마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민주당은 이춘석 사무총장이 최근 전남지사 출마 의사를 밝힌 이개호 의원을 직접 만나 출마 자제를 요청했다. 이 의원이 출마하면 호남지역에는 민주당 출신 국회의원이 한 명도 남지 않게 된다.

민주당에서는 전남 완도가 고향이자 전남 지역 재선 국회의원 출신인 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전남지사 후보로 차출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또 민주당 오제세 의원은 일찌감치 충북지사 출마 선언을 했지만 같은 당 소속 이시종 현 지사가 3선 도전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현역의원은 일단 당의 방침을 살펴보겠다는 입장이지만 현역이라는 이유로 출마 자체를 막는 것에 불만이다. 당장 이 의원은 “이 사무총장에게 불출마 권고를 받았지만 도민에 대한 납득할 만한 설명과 이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고 말해 권고 수용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연이은 현역의원 출마 움직임의 부작용은 자칫 ‘기호 1번’ 프리미엄까지 잃게 된다는 점이다. 지방선거는 기초·광역의원까지 뽑는 데다 노인인구가 많은 지역일수록 1번의 중요성은 크다.

현재 민주당은 아슬아슬하게 1당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민주당은 현재 121석으로 117석의 자유한국당보다 겨우 4석 많다. 이런 상황에서 17개 광역단체 중 민주당 현역의원이 출마 의사를 밝힌 곳은 10개 안팎에 달한다.

현역의원이 광역단체장 최종 후보가 되면 5월 14일까지 의원직에서 사퇴해야 한다. 한국당에서는 경북 등을 제외하고는 현역의원의 출마 움직임은 보이지 않는다. 심지어 한국당은 홍준표 대표가 경북지사 출마를 위해 의원직 사퇴의사를 밝힌 이철우 의원을 주저앉혔다.

이런 상황에서 지방선거를 위해 현역의원의 줄사퇴가 이어진다면 자칫 원내 2당으로 내려앉을 수도 있다. 최악의 경우는 원내 1당이 통상 차지하는 ‘국회의장직’도 놓칠 수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여당이 추진하려는 중점 법안을 야당이 막을 때 민주당 출신 국회의장의 도움이 컸다”며 “국회의장직을 하반기 국회에서 지켜내지 못하면 여소야대에서 여당이 국회를 운영하기 어려워지고 문재인 정부 국정 운영에도 부담이 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8-02-05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