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당·민평당 출범 앞두고 정치지형 요동

미래당·민평당 출범 앞두고 정치지형 요동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8-02-04 22:18
업데이트 2018-02-05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승민·박주선 공동대표 맡을 듯
국민의당 8~10일 전당원 투표
이용주 ‘국민의당 탈당 1호 의원’
민평당 “18+α석 매직넘버 구성”
이미지 확대
안철수(왼쪽) 국민의당 대표와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가 4일 서울 관악구의 한 아파트에서 최저임금 인상안에 대한 간담회를 앞두고 직접 재활용 분리수거를 하고 있다. 이호정 전문기자 hojeong@seoul.co.kr
안철수(왼쪽) 국민의당 대표와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가 4일 서울 관악구의 한 아파트에서 최저임금 인상안에 대한 간담회를 앞두고 직접 재활용 분리수거를 하고 있다.
이호정 전문기자 hojeong@seoul.co.kr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미래당’ 출범이 초읽기에 돌입한 가운데 신당의 차기 지도부 구성에 이목이 쏠린다. 새로운 교섭단체의 탄생이 정치 지형에 미칠 파급력을 놓고도 전망이 엇갈린다.

4일 바른정당 등에 따르면 미래당은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와 최근 합류를 선언한 국민의당 중재파 박주선 국회부의장이 공동대표를 맡을 가능성이 크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백의종군’ 입장을 굽히지 않으면서다.

바른정당 관계자는 “영남과 호남을 대표하는 두 사람이 공동 대표로 나선다면 지역장벽을 넘어 영호남 화합의 상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관계자도 “막판 통합에 힘을 실어준 호남 중진을 예우하는 차원을 넘어 호남 여론을 달랠 수 있는 좋은 카드”라고 평가했다.

현재 미래당은 최소 31명의 의원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주 국민의당 중재파로 분류된 박주선, 주승용, 김동철 의원이 합류 의사를 밝히면서 통합에 힘을 실었다. 안 대표와 유 대표도 이날 서울 관악구의 한 아파트 관리사무소를 방문해 ‘민심 청취’ 간담회를 여는 등 통합 행보에 박차를 가했다. 국민의당은 오는 8~10일 케이보팅(중앙선거관리위원회 온라인투표 시스템)과 ARS 투표를 이용한 전당원투표로 합당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미래당은 기존의 캐스팅보터였던 국민의당보다 보수 색채를 더 띨 것으로 예상된다. 박지원, 천정배 등 호남 색채가 강한 의원이 대거 합당에 반대, 국민의당을 이탈했기 때문이다.

현재 더불어민주당 등 여권 성향 의원은 129명, 자유한국당 등 야권 성향 의원은 119명(구속 2명 포함)이다. 재적 의원 과반수는 148명이다. 미래당이 어느 쪽에 힘을 실어 주느냐에 따라 과반을 좌우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미지 확대
비둘기와 촛불을 형상화한 당 로고를 발표하는 박주현(왼쪽) 민주평화당 창당추진위원회 홍보위원장. 왼쪽부터 박 위원장, 조배숙, 장정숙 의원. 이호정 전문기자 hojeong@seoul.co.kr
비둘기와 촛불을 형상화한 당 로고를 발표하는 박주현(왼쪽) 민주평화당 창당추진위원회 홍보위원장. 왼쪽부터 박 위원장, 조배숙, 장정숙 의원.
이호정 전문기자 hojeong@seoul.co.kr
반면 국민의당 반대파 의원이 추진하는 민주평화당도 “매직넘버를 구성했다”고 주장한다. 지역구 의원 15명과 비례대표 의원 3명이 민평당과 뜻을 함께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원내 교섭단체 구성은 어렵지만 여권 성향 의원 129석에 19석만 더하면 과반수를 달성할 수 있다.

반통합파인 조배숙 의원은 “현재까지 의석이 18석인데 이용호 의원도 결심해 줄 것으로 보고 그 외에도 한 분 정도가 더 있다”고 설명했다.

반통합파 의원 중 ‘국민의당 탈당 1호’ 의원은 이용주 의원이 됐다. 이 의원은 “지난 1일 탈당계를 냈다”며 “다른 의원의 탈당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오는 7일 대정부 질문 순서 조정 차원에서 탈당계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2018-02-05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