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 만에 온 북한 응원단…이번에도 대부분 20대 여성

13년 만에 온 북한 응원단…이번에도 대부분 20대 여성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2-07 11:22
업데이트 2018-02-07 1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네번째 北응원단 방남…과거엔 응원·거리공연하며 ‘인기몰이’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을 이틀 앞둔 7일 북한 응원단이 13년 만에 남측 땅을 밟았다.
이미지 확대
북한 응원단이 7일 오전 경의선 육로를 통해 경기 파주시 남북출입사무소로 입경하고 있다. 2018. 02. 07 사진공동취재단
북한 응원단이 7일 오전 경의선 육로를 통해 경기 파주시 남북출입사무소로 입경하고 있다. 2018. 02. 07 사진공동취재단
북측 응원단 229명은 이날 오전 경기 파주의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CIQ)를 통해 방남했다.

이들은 대부분 20대로 보이는 젊은 여성이었다. 전날 만경봉 92호로 방남한 예술단처럼 붉은 코트를 입고 비교적 밝은 표정으로 취재진의 질문에 “반갑습니다”를 연발했다.

모두 평양에서 왔느냐는 질문에는 일부가 고개를 끄덕였다. 북한 당국이 평양의 대학생 등을 중심으로 선발해 구성한 것으로 보인다.

응원단의 방남은 지난달 17일 남북 차관급 실무회담에서 합의된 사항이다. 북측 응원단은 북한 선수들의 경기와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경기는 물론 일부 남측 선수들의 경기에도 응원에 나설 예정이다.

북한 응원단이 남측에서 열린 국제스포츠대회를 위해 방남한 것은 이번이 네 번째다.

2002년 9월 부산 아시안게임(288명), 2003년 8월 대구 하계유니버시아드(303명)에 이어 2005년 8월 인천 아시아육상경기선수권대회(124명)에 북한 응원단이 내려왔었다.

20대 초중반의 젊은 여성들로 구성된 북한 응원단은 ‘잘한다 잘한다’, ‘우리민족끼리’ 같은 구호를 외치며 독특한 율동과 함께 응원을 선보여 큰 관심을 끌었다.

특히 북측 응원단이 처음 온 부산 아시안게임 때는 이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조명하는 내외신의 보도가 쏟아진 것은 물론 응원단 리더를 중심으로 팬사이트가 개설되기도 했다.

응원단이 경기장에서 응원만 한 것은 아니다. 응원 일정이 없을 때면 선수촌 안팎에서 거리 공연을 선보이며 시민과의 접촉면을 늘렸다.

돌발 상황이 벌어진 적도 있다. 2003년 대구 유니버시아드 때는 경기 응원을 마치고 숙소로 돌아가던 북한 응원단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진이 담긴 환영 플래카드가 빗속에 방치돼 있다고 눈물로 항의하는 일도 있었다.

이번에도 북한 응원단이 인기몰이를 하게 될지는 미지수다. 대규모 예술단이 함께 방남해 관심이 분산된 측면이 있고 하계 종목에 비교하면 북한 선수들의 출전 경기가 많지 않기도 하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거듭된 터라 대북 여론도 과거보다 훨씬 강경해졌다.

이들에게는 ‘미녀 응원단’이라는 별칭이 관행적으로 따라다녔다. 특히 인천 아시아육상선수권대회 당시 응원단에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부인 리설주가 포함됐던 사실이 뒤늦게 확인되면서 이런 별칭이 계속 이어져 왔다.

북한이 국제스포츠대회에 파견하는 응원단을 늘 젊은 여성으로 구성하는 건 아니다. 북한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 때는 중년 남녀를 섞은 응원단을 파견했고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때는 40∼50대 남성 100여 명이 응원단을 구성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