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정동영 “대북특사 적임자는 서훈 국정원장”

박지원·정동영 “대북특사 적임자는 서훈 국정원장”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3-02 11:18
업데이트 2018-03-02 1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서 각각 대북특사와 통일부 장관 경험이 있는 민주평화당 박지원·정동영 의원은 2일 서훈 국정원장이 청와대의 대북특사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평당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
민평당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 민주평화당 조배숙 대표와 박지원 전 대표(왼쪽)등 지도부가 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 의원은 이날 불교방송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서 원장은 미국의 정보기관이나 정부기관들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고, 지금 현재도 업무를 조율하고 있으므로 적임자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일부에서는 왜 북한의 정보를 다루는 국정원장이 나서느냐 하는 비난도 하지만 저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면서 “오히려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서 원장이 나서서 직접 대화를 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고 속도감 있는 진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북특사로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임종석 비서실장도 거론되는 데 대해 “임 실장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인물”이라면서도 “이번엔 경험과 능력을 갖춘 서훈 원장과 조 장관이 (특사직을 수행하는 게) 훨씬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남북정상회담의 성공을 위해서는 한미 신뢰가 필요하므로 모든 것은 미국과 사전조율을 해야 한다”며 “김정은 위원장도 남북정상회담이나 대북특사를 통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숨소리를 듣고 싶어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동영 의원도 교통방송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나와 “북한은 낯을 가린다. 그러니까 전에 만난 사람이냐, 아니냐가 중요하다”며 “서 원장은 김정은 위원장의 아버지인 김정일 위원장과 가장 많이 만났다. 6번 정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또 서 원장은 남쪽의 문재인 대통령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인물”이라며 “이 두 가지 조건을 보면 서 원장이 제일 적임”이라고 말했다.

그는 조 장관과 임 비서실장에 대해서는 “다 자격이 있는 분들”이라면서도 “하지만 아까 말한 두 가지 조건에 맞는 사람은 서 원장 딱 한 사람밖에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 의원은 “평창(올림픽) 효과로 한반도 정세가 바뀌었고, 패럴림픽이 남은 이 시기에 주도적으로 움직여야 한다”며 특사가 북에 가서 김정은 위원장으로부터 최소한 비핵화에 대한 언급을 끌어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