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개헌안 발의 찬성 64.3%…1주일새 4.7%p↑[리얼미터]

대통령 개헌안 발의 찬성 64.3%…1주일새 4.7%p↑[리얼미터]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3-29 09:32
업데이트 2018-03-29 09: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TK에서도 찬성 의견 전주보다 16.8%p 올라 찬반 여론 박빙

문 대통령 국정지지율 69.8%, 지난주 주간집계보다 0.7%p 상승
민주 52.2%, 한국 19.6%, 바른미래 7.3%, 정의 5.0%, 평화 2.6%
문재인 대통령의 정부 개헌안 발의에 찬성한다는 의견이 1주일 사이 약 5%포인트(p) 올라 60%대 중반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9일 나왔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tbs의 의뢰를 받아 28일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4.4%포인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개헌안 발의(26일)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64.3%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1일 조사(59.6%)와 비교했을 때 오차범위 내에서 4.7%p 오른 수치다.

‘문 대통령의 개헌안 발의에 반대한다’는 응답은 한 주 전보다 1.1%p 내린 27.6%로 나타났다.

대부분 지역에서 지난주 조사보다 찬성 응답이 상승한 가운데 광주·전라(찬성 76.3%)와 서울(68.5%), 경기·인천(66.0%), 대전·충청·세종(65.3%), 부산·경남·울산(56.5%) 순으로 찬성 비율이 높았다.

대구·경북(찬성 46.0% vs 반대 46.5%)에서는 찬성 응답이 지난주 조사 대비 가장 큰 폭(16.8%p↑)으로 상승해 찬성과 반대가 초박빙을 이뤘다.

연령별로는 30대(76.7%), 40대(74.9%), 20대(69.5%), 50대(63.3%)의 찬성 비율이 60% 이상이었다.

60대 이상(찬성 44.0% vs 반대 45.8%)에서는 찬반양론이 맞섰으나 찬성 의견이 지난주보다 4.1%p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정당별로 보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서 찬성(90.9%)이 압도적이었고, 정의당 지지층(75.0%)과 민주평화당 지지층(54.3%)도 찬성 의견이 우세했다.

반면 자유한국당 지지층(반대 85.2%)과 바른미래당 지지층(50.9%)에서는 반대가 압도적으로 높거나 절반 이상이었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과 중도층의 찬성 비율이 각각 86.1%, 64.3%였다.

보수층에서는 반대(60.1%)가 다수였으나 지난주 조사 대비 찬성 응답(26.2%→36.9%)이 10.7%p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리얼미터가 tbs의 의뢰로 지난 26~28일 전국 성인 1천501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신뢰수준 95%, 표본오차 ±2.5%p)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국정 수행을 잘하고 있다’는 답변은 69.8%로 지난주 주간집계 대비 0.7%p 올랐다.

‘잘 못 하고 있다’는 답변은 25.2%로 1.4%p 내려갔다.

리얼미터는 “문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은 보수층(36.2%→46.2%)에서 큰 폭으로 상승했고, 80% 선에 근접하며 가장 높은 지지율 기록한 20대(75.0%→79.4%)와 30대·50대, 충청권·TK(대구·경북)에서 결집하는 모습이 나타났다”며 “대통령 개헌안 발의에 대한 찬성 여론 증가, 방북 예술단 구성과 베트남·아랍에미리트(UAE) 순방외교에 대한 관심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당 지지도에선 민주당이 0.4%p 내린 52.2%로 1위를 지켰다.

민주당의 지지율은 소폭 하락했으나 3주째 50%대 초반의 강세를 유지했다.

한국당은 1.0%p 하락한 19.6%의 지지율을 얻었다.

바른미래당의 지지율은 7.3%(0.9%p↑)로 한주 만에 7%대를 회복했으나 통합 창당 이후 6주째 한 자릿수 지지율에 머물렀다.

정의당과 평화당의 지지율은 각각 5.0%, 2.6%로 변화가 없었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리얼미터 홈페이지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