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만한 인물 없었다”vs“구시대 정치 끝났다”

“그만한 인물 없었다”vs“구시대 정치 끝났다”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18-06-24 22:24
업데이트 2018-06-24 2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민들 애도 속 엇갈린 평가

‘영원한 2인자’로 불리는 김종필(JP) 전 국무총리의 별세 소식에 시민들은 저마다 ‘정치인 JP’의 공과(功過)를 논했다. 산업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었지만, 독재 권력을 누리며 정치 발전을 가로막은 정치인이라는 평가가 더 많았다.

24일 서울역에서 김 전 총리의 별세 소식을 TV 뉴스로 지켜보던 김모(68)씨는 “평생 정치계를 주름잡은 대단한 인물임은 틀림없다. 대통령이 못 된 게 아마 한으로 남았을 것”이라면서 “요즘 시대에는 JP를 ‘적폐’라고 비난할 수도 있겠지만, 그가 우리나라 근대화와 산업화에 이바지한 공도 평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부 이모(59·여)씨도 “3당 합당으로 손을 잡으며 높은 자리를 노렸던 야욕이 컸던 정치인으로 기억된다”면서 “정치인으로서의 과오가 없을 순 없겠지만 평가는 역사의 몫으로 돌리겠다”고 말했다. 야당 의원의 보좌관을 지낸 김모(40)씨는 “JP가 ‘정치는 허업(虛業)’이라고 했는데, 국민을 위한 정치가 아니라 오로지 정치 싸움에만 매몰된 현실 정치는 다 부질없다는 의미로 이해했다”면서 “현실 정치의 속성을 꿰뚫는 한마디인 것 같아서 깊이 새기고 있다”고 말했다.

JP가 1961년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고, 1964년 한·일 협정을 주도한 인물이었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평가도 많았다. 그가 ‘3김’으로 대표되는 보스 중심의 구시대적 계파 정치를 했던 장본인이라는 점이 주된 비판 대상이 됐다. 대학원생 김지은(32·여)씨는 “김대중·김영삼 전 대통령과 공과를 비교했을 때, 양김은 민주화 운동으로 평가를 받을 만하지만, JP는 3김 중에서 가장 적폐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자영업자 이모(62)씨는 “유신 독재의 2인자로서 늘 권력의 중심에 있었던 인물”이라면서 “이제 3김이 모두 세상을 떠난 만큼 정치권도 지역 중심, 계파 중심의 정치에서 벗어나 국민 중심의 정치를 펼쳤으면 좋겠다”고 바랐다.

인터넷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의 JP 조문을 반대한다”, “반인권의 대명사인 JP의 사망을 애도하는 이유를 모르겠다”는 등의 비난이 쇄도했다. 맛 칼럼니스트 황교익씨는 페이스북에 “김종필은 총으로 권력을 찬탈했다. 그의 죽음을 애도하지 말라”면서 “직업 정치인들끼리야 그와의 애틋한 추억이 있을 수 있겠지만, 그 사적인 감정을 국가의 일에 붙이지 마라. 정치가 한량들 놀이판이냐”라고 적었다.

이와 함께 “세상을 하직한 사람에게 욕을 하는 것도 도리가 아닌 것 같다”는 반론도 나왔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18-06-25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