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문계 인사들의 비공개 친목 모임인 ‘부엉이’ 진짜 의미

친문계 인사들의 비공개 친목 모임인 ‘부엉이’ 진짜 의미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18-07-03 18:14
업데이트 2018-07-03 18: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일 오후 문화역 서울 284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출범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경과보고를 듣고 있다. 2018. 7. 3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3일 오후 문화역 서울 284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사업 추진위원회’ 출범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경과보고를 듣고 있다. 2018. 7. 3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인 더불어민주당 전해철 의원은 3일 ‘부엉이 모임’과 관련해 “조직적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고 친목 모임”이라고 말했다. 박주민 의원도 이날 “조용히 친목을 도모하는 모임”이라고 했다. 친문계(문재인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들)의 비공개 친목 모임이라는 것이다.

전 의원은 이날 인터넷 언론 뉴비씨의 팟캐스트에서 “몇 년간 해왔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가 (전당대회를 앞두고) 모여서 뭘 하고 있지 않으냐고 민감하게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박 의원은 이날 KBS1 ‘사사건건’에서 “저도 모임에 속해 있다”며 “만약 많은 분들이 의심하고 있는 거라면 진작에 문제가 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전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
전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
그는 노무현정부 말기 외곽에서 만들어진 참여정부 평가포럼, 노무현정부 임기 종료 후 진로를 모색하기 위한 모임, 나아가 문 대통령의 2012년 대선 실패 이후 모임 등이 ‘부엉이 모임’의 유래라고 설명했다.

그는 “친노(친노무현)·친문 모임이라고 (비판)해서 조직적으로 하지 못했고 이심전심으로 해온 모임”이라며 “지난 대선까지는 나름 역할을 하려 했지만, 이후에는 조직적으로 할 이유를 못 느껴 친목 모임처럼 했다”며 모임에 대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전 의원은 ‘부엉이’라는 이름에 대해 “밤에도 있으면서 문 대통령을 지키는 역할을 하자고 해서 부엉이로 했던 것”이라고 소개했다. 다시 말해 부엉이는 밤새도록 잠을 자지 않고 달(Moon)인 문 대통령을 지킨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어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제안했느냐’는 질문에 “어느 회원 한 분이 제안했는데 너무 많이 아시는 것 같다”면서 “저는 누구라고 말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또 ‘부엉이’란 이름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관련된 ‘부엉이바위’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친문 그룹 일각에서 강한 비판이 있는 데 대해 “문제 제기를 듣고 좀 당황스럽기도 했다”면서 “공개 모임도 아니었고 약간 은유적인 뜻도 있다는 취지의 선의로 생각해달라”고 밝혔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이와 관련해 자유한국당이나 정의당 등에서 ‘계파정치’라든가 ‘편가르기’라고 비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