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적, 北 의뢰한 남측 이산가족 생사확인 본격 착수

한적, 北 의뢰한 남측 이산가족 생사확인 본격 착수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7-04 15:11
업데이트 2018-07-04 15: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적십자사(한적)는 북측 이산가족 200명이 의뢰한 남측 가족의 생사확인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한적 관계자는 4일 “사실상 어제부터 북측의 이산가족들이 의뢰한 남측 가족의 생사확인 작업에 착수했다”라며 “북측 이산가족 1명이 여러 명의 남측 가족을 찾는 경우가 많아 생사확인에 시간이 좀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한적은 우선 통일부와 공동으로 운영하는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우리측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명단과 북측 가족이 의뢰한 남측 가족의 이름과 나이, 거주지 등 인적사항을 일일이 대조하면서 확인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중 생존자는 6월 30일 현재 5만 7천59명, 사망자는 7만 5천425명이다.

한적 관계자는 “북측에 사망 여부도 확인해줘야 하므로 이산가족 생존자뿐 아니라 사망자 명단도 대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적은 북측에서 생사확인을 의뢰한 남측 가족이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하지 않은 경우를 비롯해 남측 가족의 현재 거주지와 소재 파악이 어려우면 정부 행정 전산망을 이용하거나 지방자치단체와 경찰에 북측이 의뢰한 명단을 통보하는 등 여러 기관의 협조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적 관계자는 “북측 이산가족이 의뢰한 남측 가족의 소재를 전혀 찾을 수 없는 경우도 있다”라며 “이런 경우에는 북측에 ‘확인 불능’이라고 통보한다”고 전했다.

남측 가족의 생사확인을 의뢰한 북측 이산가족 200명의 명단을 살펴보면 90세 이상 8명(4%), 80∼89세 124명(62%), 70∼79세 67명(33.5%), 69세 이하 1명(0.5%)으로 나타났다.

또 북측 이산가족이 상봉을 희망하는 가족관계는 부부·부자 116명(58%), 형제·자매 46명(23%), 3촌 이상 38명(19%) 순이다.

한적은 북측이 의뢰한 남측 가족의 생사확인 작업이 끝나면 오는 25일까지 ‘생존’, ‘사망’, ‘확인 불능’ 등의 생사확인 결과가 담긴 회보서를 북측과 교환한다.

남북은 생사확인 회보서의 생존자 중 최종 상봉 대상자 각각 100명씩을 선정해 8월 4일 이산가족 상봉자 최종 명단을 교환하는 것으로 상봉 준비를 마무리한다.

앞서 남북은 지난달 22일 적십자회담을 열고 각각 100명씩의 이산가족이 상봉하는 행사를 8월 20∼26일 금강산에서 열기로 합의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