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후반기 국회 상임위 정수 최종 합의…법사위↑, 과방·산자·국토↓

여야, 후반기 국회 상임위 정수 최종 합의…법사위↑, 과방·산자·국토↓

입력 2018-07-14 23:31
업데이트 2018-07-14 2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하반기 원구성 위해 손잡은 원내수석부대표들
하반기 원구성 위해 손잡은 원내수석부대표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4개 교섭단체 원내수석부대표가 4일 국회에서 하반기 원 구성을 논의하기 위한 회동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바른미래당 유의동 원내수석, 자유한국당 윤재옥 원내수석, 민주당 진선미 원내수석,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윤소하 원내수석.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여야가 14일 국회에서 비공개 회동을 갖고 20대 국회 후반기 상임위원회 정수 조정에 합의했다.

더불어민주당 강병원 원내대변인은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오늘 상임위 위원 정수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바른미래당 유의동, 평화와 정의 의원모임 윤소하 원내수석부대표도 “상임위 정수 조정에 합의했다”고 전했다.

여야는 민주당 129석, 자유한국당 113석, 바른미래당 30석,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20석, 비교섭단체 7석을 전제로 합의를 이뤘다.

한국당이 지난달 탈당을 선언한 서청원 의원에 대해 제적 보고를 하지 않고 112석이 아닌 113석을 주장한 데 대해 여당과 다른 야당들이 반발했으나, 결국 이를 양해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는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를 30석에서 29석으로, 국토교통위원회를 31석에서 30석으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를 24석에서 21석으로 각각 줄이고, 법제사법위원회를 17석에서 18석으로 늘리기로 했다.

법안 처리의 마지막 관문인 법사위의 경우 18석 중 민주당이 8석, 한국당이 7석을 갖게 돼 민주당이 전반기에 이어 후반기에도 다수를 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 원내대변인은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를 분리하기로 함에 따라 대규모 상임위의 위원 수를 줄였고, 법사위는 민주당이 다수를 점하기 위해 위원 수를 늘리는 등 최소한의 범위에서 조율했다”고 설명했다.

여야는 오는 16일 국회 본회의를 열어 18개 상임위의 위원장을 선출하기로 지난 10일 합의한 바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