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지도부와 갈등’ 전원책 조강특위위원 해촉

한국당, ‘지도부와 갈등’ 전원책 조강특위위원 해촉

김태이 기자
입력 2018-11-09 13:34
업데이트 2018-11-09 14: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대위 만장일치 결정…전원책에 ‘해촉’ 문자 통보

자유한국당은 9일 지도부인 비상대책위원회와 정면충돌하는 등 월권 논란을 빚어온 전원책 조직강화특위 위원을 사실상 경질했다.
자유한국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외부위원 중 한 명인 전원책 변호사.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외부위원 중 한 명인 전원책 변호사. 연합뉴스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개최 시기를 둘러싼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과 전 위원의 첨예한 갈등의 결과다.

김용태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 정론관 기자회견에서 “오늘 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전원책 조강특위 위원이 어제 비대위원회 결정사항에 대해 동의할 뜻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고, 위원직 해촉 결정을 했다”고 밝혔다.

김 사무총장은 전날 저녁 전 위원을 4시간 넘게 면담하고 ‘내년 2월 말 새 지도부 선출 전당대회’를 받아들이라는 ‘최후통첩’을 했으나, 그간 ‘전대 연기’를 주장해온 전 위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김 사무총장은 비대위원 전원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의견을 구했으며 비대위원 만장일치로 해촉 결정을 내렸다. 전 위원에게는 해촉 사실을 문자로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당 비대위의 해촉 결정은 당초 예상보다 앞당겨져 이뤄졌다. 이날 오후 3시로 예정된 조강특위 회의에서 전 위원의 입장 표명 이후 당 지도부의 판단이 나올 것으로 예상됐었다.

이에 대해 김 사무총장은 “전 위원이 오늘 오전 언론 인터뷰를 통해 공개적으로 비대위 결정에 동의할 수 없다는 뜻을 표명했다”며 “비대위는 더이상 이 상황을 그대로 둘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더이상 한국당의 혁신 작업이 조강특위 논란으로 발목 잡혀서는 안 된다는 판단을 했고, 인적쇄신의 결정적 기구인 조강특위의 정상 가동을 위해 불가피하게 해촉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전 위원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비대위가 2월 전대를 고집하는 명분으로 1∼3명을 뽑는 보궐선거 공천을 들고 있다. 그깟 보궐선거가 한국당 쇄신보다 중요한가”라며 “나는 잃을 게 없다. 자르려면 자르라”고 했다.

한국당은 공석이 된 조강특위 위원을 새로 임명하고 당협위원장 교체 작업을 차질 없이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김 사무총장은 “비대위는 저에게 바로 외부위원을 선임해 일정에 차질 없게 해 달라고 지시했다”며 “바로 위원 1인을 선임해 비대위와 협의하고, 조강특위를 정상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후임 물색은 끝났고, 본인의 동의와 당내 절차만 거치면 빈자리는 채워지리라는 것이 김 사무총장의 설명이다.

다만 또다른 3명의 외부위원이 전 위원 해촉에 반발, 사퇴할 경우 당협위원장 심사를 시작으로 한 조강특위의 당내 조직·인적 혁신 작업에는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김 사무총장은 이들 외부위원 거취에 대해서는 “오후 3시에 조강특위 회의가 열리면 위원들의 결정이 알려질 것”이라며 “세 분이 당 재건에 흔쾌히 동참해줄 것으로 본다”고 했다.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십고초려’로 영입했다고 밝힌 전 위원이 논란 끝에 해촉된 데 대해 사과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전원책 변호사의 말씀과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려 했지만, 전당대회 개최 시기 등 조강특위의 범위를 벗어난 주장을 수용하기 어려웠다”

김 사무총장도 “실무책임자인 사무총장으로 책임을 통감한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