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90대 이상 초고령 운전자 면허증 반납 1% 불과

경찰청, 90대 이상 초고령 운전자 면허증 반납 1% 불과

남상인 기자
입력 2018-11-15 09:47
업데이트 2018-11-15 09: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통사고 발생건수도 5년 새 2.5배 증가

90대 이상 초고령 운전자 중 올해 운전면허 자진 반납자는 8월기준 31명(0.4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91세 이상 운전면허 소지자는 총 6807명으로 최근 5년간(2014~2018.8) 운전면허를 자진 반납한 사람은 65명(1%)으로 조사됐다.

초고령 운전자 가운데 6504명(96%)이 남성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여성은 243명에 그쳤다. 같은 기간 운전면허를 반납한 사람 또한 모두 남성이었다. 지난해 초고령 운전자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131건으로 65세 이상 고령운전자 교통사고 발생건수(2만 6713건)의 0.5%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 2013년 52건과 비교했을 때 5년 새 2.5배 급증했다.

연령대별 교통사고 현황을 보면 지난해 교통사고 2만 6713건 중 65~69세가 1만 3095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70~79세 1만 1734건, 80~89세 1753건, 90세 이상 131건으로 순으로 나타났다. 면허증 소지가 많은 연령대에서 사고건수도 많았다.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의 교통사고 유형을 보면 총 2만 6713건 중 ‘차 대 차’ 2만 34건으로 가장 많았고 ‘차 대 사람’ 5230건, 차량단독 1446건 순으로 나타났다.

신 의원은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고령운전자 교통사고가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하고 있다”며 “사고 우려가 있는 90세 이상 초고령 운전자들의 적성검사 주기 단축 등의 조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