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시범철수 GP 완전파괴·유해발굴지역 지뢰제거 완료

남북, 시범철수 GP 완전파괴·유해발굴지역 지뢰제거 완료

강경민 기자
입력 2018-11-30 16:46
업데이트 2018-11-30 16: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2월 상대측 완전파괴 GP 방문해 검증…남북 GP 1개소씩 보존북측 수천발·남측 수백발 지뢰제거…제거구역엔 표식물도 설치

이미지 확대
남북이 22일 오후 공동유해발굴을 위한 지뢰 제거 작업이 진행 중인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DMZ) 내 화살머리고지에서 전술 도로를 연결한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사진은 최근 도로연결 작업에 참여한 남북인원들이 군사분계선(MDL) 인근에서 인사하는 모습. 2018.11.22 국방부 제공
남북이 22일 오후 공동유해발굴을 위한 지뢰 제거 작업이 진행 중인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DMZ) 내 화살머리고지에서 전술 도로를 연결한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사진은 최근 도로연결 작업에 참여한 남북인원들이 군사분계선(MDL) 인근에서 인사하는 모습. 2018.11.22 국방부 제공
남북은 30일 시범철수 대상인 비무장지대(DMZ) 내 GP(감시초소) 완전 파괴(각각 10개소)와 DMZ 공동유해발굴 지역인 강원도 철원 화살머리고지 일대 지뢰제거 작업을 완료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남북은 모두 시범철수 대상 GP 완전파괴 작업을 오늘 완료했다”며 “12월에 상대측 완전파괴 GP를 방문해 검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측은 굴착기를 동원한 철거 방식으로, 북측은 폭발물을 이용한 파괴 방식으로 시범철수 대상 GP를 제거했다.

앞서 남북은 지난 9월 19일 체결한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 분야 합의서’를 통해 각각 11개 GP를 시범 철수하기로 합의했다. 이중 남북 각각 10개 GP는 이달 말까지 완전파괴하고 GP 1개소씩은 병력과 장비를 철수하되 원형은 보존키로 했다.

원형이 보존되는 남측 GP는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직후 최초 설치된 동부전선의 동해안GP다. 북측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13년 6월 방문했던 중부전선의 까칠봉GP를 보존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사합의서에 따라 공동유해발굴 지역 내 지뢰제거 작업도 이날 종료됐다.

국방부 관계자는 “10월 1일 지뢰제거 작업이 시작된 이후 공동유해발굴 지역 내에서 북측은 수천 발, 남측은 수백 발의 지뢰와 폭발물을 제거했다”며 “지뢰가 제거된 구역의 외곽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표식물도 설치했다”고 밝혔다.

남북은 지뢰제거 작업 완료 이후 공동유해발굴에 필요한 도로개설 작업을 연말까지 지속할 예정이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내 남북 자유왕래는 12월부터 실현될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연내 JSA 자유왕래가 가능하도록 (남북 장병에게 적용되는) 공동근무수칙 마련과 감시 장비 조정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