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해상초계기 한반도 비행…SLBM 징후 포착?

美 해상초계기 한반도 비행…SLBM 징후 포착?

이주원 기자
입력 2019-12-27 10:24
업데이트 2019-12-27 1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P3C 해상초계기
P3C 해상초계기 서울신문DB
잠수함 탐지에 활용되는 미 해군 해상초계기 P3C가 한반도 상공을 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민간항공추적사이트 ‘에어크래프트 스폿’에 따르면 미 해군 소속 P3C 해상초계기가 지난 26일 한반도 상공을 비행했다.

P3C 해상초계기는 잠수함을 탐지할 수 있는 주요 전력이다. 북한이 지난 10월 해상 바지선에서 시험발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 3형’을 SLBM 탑재가 가능한 신형 3000t급 잠수함에서 시험발사하는 상황이 임박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과 맞물려 주목된다. SLBM은 ICBM과 더불어 미국이 직접적 위협으로 간주하는 북한 전력이기 때문이다.

앞서 미군은 주로 SLBM 탐지에 활용되는 RC135S ‘코브라볼’을 연이어 동해에 띄우면서 북한의 SLBM 발사 움직임이 포착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RC135S는 최첨단 전자광학 장비로 원거리에서 탄도미사일의 궤적을 추적할 수 있는 정찰기다. 주로 SLBM을 탐지할 때 활용된다.

에어크래프트 스폿에 따르면 이날 코브라볼 1대가 오키나와 주일미군 가데나 기지에서 동해 상공으로 출격한 데 이어 또 다른 1대가 같은 경로로 비행한 것이 포착됐다. 미 공군이 보유한 3대 중 2대가 모두 대북 감시 임무에 투입된 것이다. 앞서 지난 25일에도 코브라볼 3대 중 2대가 동해 상공으로 비행하면서 SLBM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은 북한이 비핵화 협상 마지노선으로 제시한 연말 시한을 앞두고 대북 감시에 정보자산을 총동원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 26일 대외선전매체를 통해 미군의 정찰 움직임에 반발했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