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아들을 안중근 의사에 비유한 與… “위국헌신군인본분 실천한 것” 파문

秋아들을 안중근 의사에 비유한 與… “위국헌신군인본분 실천한 것” 파문

손지은 기자
손지은 기자
입력 2020-09-16 22:38
업데이트 2020-09-17 05: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홍영표 “野, 쿠데타 안 되니 국회서 공작”
윤주경 “감히 安의사와 비교하나” 비판
박성준, 논란 커지자 “부적절 유감”사과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380회 국회(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정세균 총리에게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에 관한 대정부 질문을 하고 있다. 2020.7.22 사진=뉴스1
박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380회 국회(임시회) 제4차 본회의에서 정세균 총리에게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에 관한 대정부 질문을 하고 있다. 2020.7.22 사진=뉴스1
더불어민주당의 추미애 법무부 장관 엄호 수위가 높아지며 무리수가 속출하고 있다. 급기야 16일에는 추 장관 아들의 성실한 군 복무를 주장하며 안중근 의사의 유묵(遺墨)인 ‘위국헌신군인본분’(爲國獻身軍人本分)까지 거론했다. 야당을 향한 역공 과정에서는 ‘쿠데타 세력’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민주당 박성준 원내대변인은 16일 서욱 국방부 장관 후보자 국회 인사청문회에 대한 논평에서 “명확한 사실관계는 추 장관 아들이 군인으로서 본분을 다하기 위해 복무 중 병가를 내고 무릎 수술을 받은 것”이라며 “결국 ‘나라를 위해 몸을 바치는 것이 군인의 본분’(위국헌신군인본분)이라는 안중근 의사의 말을 몸소 실천한 것”이라고 했다.

이에 윤봉길 의사인 장손녀인 국민의힘 윤주경 의원은 청문회에서 “독립운동 하신 분들이 오늘 이런 모습을 보려고 나라를 위해 헌신했을까 생각했다”며 “어떻게 감히 (추 장관 아들을) 안중근 의사와 비교하나”라고 상기된 목소리로 비판했다.

논란이 커지자 민주당은 뒤늦게 논평에서 안 의사 언급 부분을 삭제했다. 이후 박 원내대변인은 “적절하지 않은 인용으로 물의를 일으켜 깊이 유감을 표한다”고 사과했다.

민주당 홍영표 의원은 “과거 군을 사유화하고 정치에 개입했던 세력이 민간인을 사찰하고 공작하고 쿠데타까지 일으키다가 이제 그런 게 안 되니까 국회에 와서 공작을 한다”며 국민의힘 의원들을 겨냥했다.

이에 합동참모차장 출신인 국민의힘 신원식 의원은 “국회에 들어온 쿠데타 세력은 누구를 얘기하느냐”고 따졌고, 역시 3성 장군 출신인 한기호 의원은 “나는 5·16 때 육사 생도였다”며 “우리를 쿠데타 세력이라고 한다면 오늘 청문회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했다. 결국 홍 의원은 “두 분을 지목해 쿠데타에 직접 참여했다고 한 것이 아니다”라며 유감을 표했다.

정청래 의원도 지난 14일 대정부질문에서 추 장관에게 “추 장관이 탄핵 국면에서 군사 쿠데타를 경고했는데, 정치군인들의 이런 움직임을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했다. 민주당에 ‘군 출신 야당 의원의 공작’이라는 인식이 퍼져 있다는 뜻이다.

민주당에서는 “카투사 자체가 편한 군대라 논란은 의미가 없다”고 했던 우상호 의원, 최초 제보자로 알려진 당직사병을 범죄자 취급한 황희 의원, 대정부질문에서 추 장관을 옹호하려고 ‘나 홀로 연설’을 한 김종민 의원 등 무리수가 끊이지 않고 있다. 추 장관 엄호에만 매몰돼 망언을 쏟아냈다가 비판을 받으면 사과하는 치고 빠지기식 전술인 셈이다.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2020-09-17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