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2050년 탄소중립”… 당정청, 관련 논의 가속

文 “2050년 탄소중립”… 당정청, 관련 논의 가속

신형철 기자
입력 2020-10-28 22:18
업데이트 2020-10-29 06: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2021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2020.10.28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2021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2020.10.28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국회 시정연설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나아가겠다”고 밝히면서 정부가 빠른 시일 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2050년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LEDS)을 제출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겠다”며 이처럼 밝혔다. 관건은 올해 안에 LEDS 제출이 가능할지 여부다. LEDS는 2015년 파리기후협정에 따라 올해 말까지 유엔기후변화협약에 제출해야 하는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을 말한다. 탄소중립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대책을 세워 이산화탄소의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이날 문 대통령이 직접 2050년 탄소중립을 강조함에 따라 당정청의 관련 논의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청와대, 국무조정실과 함께 LEDS 관련 논의를 조만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발언에 지금껏 탄소중립 관련 목소리를 내 왔던 민주당 의원들은 한껏 고무된 분위기다. 당에서는 그간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해 왔지만 정작 정부의 반응은 미적지근했다. 지난 7월 14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하며 “장차 네트 제로(Net Zero·탄소중립) 사회를 지향하겠다”고 밝힌 게 전부다.

환경운동가 출신 민주당 양이원영 의원은 “그린뉴딜에서, 탄소중립으로 나아갔다는 점에서 환영한다”며 “국회에서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낸 게 반영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2020-10-29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