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대구의 코로나19 상황 호전, 시민의식 덕분”

안철수 “대구의 코로나19 상황 호전, 시민의식 덕분”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20-03-15 16:12
업데이트 2020-03-15 16: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5일간 의료봉사 끝… 상경해 총선준비
“환자·의료진·봉사자 등 모습 희망 발견”
“총선 끝나면 대구 의료봉사 계속할 것”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15일 코로나19 확진자 진료 지역거점병원인 대구 계명대 동산병원에서 의료봉사를 마친 뒤 언론 인터뷰를 위해 마스크를 벗고 있다. 뉴스1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15일 코로나19 확진자 진료 지역거점병원인 대구 계명대 동산병원에서 의료봉사를 마친 뒤 언론 인터뷰를 위해 마스크를 벗고 있다. 뉴스1
“방심할 때는 절대 아닙니다. 그렇지만 상황이 조금씩 나아지는 것은 대구시민의 높은 시민의식 때문이라는 점을 꼭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대구에서 2주간의 코로나19 의료봉사를 마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조금씩 호전되고 있는 현지 상황에 대해 대구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시민의식 덕분이라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15일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앞 동산로뎀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주간의 의료봉사를 마치고 총선 준비를 위해 서울로 돌아가는 소회를 밝혔다.

안 대표는 “놀라운 시민의식으로 전국에 희망의 메시지를 보내고 계시는 대구시민 여러분”이라고 운을 뗐다. 이어 “대구에 일일 확진자수가 최대치에 달하고 의료진도 부족했을 때 이곳에 왔다. 대구에 코로나19가 완전히 소멸되기 전 활동을 중단해 못내 아쉽다. 그러나 국민의당 당대표로서 충실하게 선거를 준비하는 것도 저에게 주어진 책무이자 국민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한다”며 “어려운 여건이지만 4·15 총선에서 최선을 다해 국민의 평가를 받겠다”고 말했다.

안 대표는 “고통과 죽음을 오가는 현장에서 함께하며 한줄기 희망 발견할 수 있었다”며 “용기를 잃지 않고 이겨내려는 환자들의 모습, 헌신적인 의료진과 자원봉사자들의 모습, 갑자기 닥친 위기를 차분하게 이겨내는 대구시민의 모습, 그리고 서로를 위로하고 격려하는 국민들 모습 속에서 희망 느꼈다”는 소감을 말했다.

대구 시민들의 코로나19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노력과 관련해서는 “대구 시민들은 누가 시키지 않아도 사회적 거리두기, 개인 위생마스크 쓰기 등을 충실하게 실천했다. 식당들은 문을 닫고 모임은 취소됐다. 그 과정에서 굉장한 희생과 고통에 따랐고, 외부지역 감염 가능성까지 차단했다”며 “우리나라가 지금 이 정도로 관리된 것은 대구 시민의 높은 시민의식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아울러 현장 봉사를 통해 얻은 경험을 향후 정치에 담을 방향을 제시했다. 그는 “위기 속에서 국가의 책임과 역할은 무엇인지 생각했다. 위기 속에서 정치의 진정한 설자리는 어디인지 숙고했다”면서 “서울에 가면 증오와 배제 아닌 통합과 희망 중심의 선거를, 위험 속에서 헌신적으로 봉사한 영웅, 우리 시민, 우리 아이들이 웃을 수 있는 선거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또 “선거가 끝나면 당선자들과 함께 대구에 다시 오겠다”며 “저는 중단된 의료봉사를 계속하겠다”고도 약속했다. 안 대표는 이날 상경한 뒤 서울 노원구 상계동 자택에서 14일간 자가격리에 들어간다. 이후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총선 준비에 전념할 예정이다.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이날 0시 기준으로 발표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보다 76명 증가한 총 8162명으로 집계됐다. 신규 확진자가 하루 두 자릿수로 낮아진 것은 지난달 21일 이후 23일 만이다. 대구·경북 신규 확진자 수도 각각 41명과 4명으로 집계되며 감소세를 보였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