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뇨차’, 누군가 특정한 것 아냐”
“무슨 이유인지 李 지지자들 화나”
“승리 경험 쓰고 싶어” 대선 출마 시사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유튜브 채널 ‘장르만 여의도’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16/SSC_20241216142617_O2.jpg.webp)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유튜브 채널 ‘장르만 여의도’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16/SSC_20241216142617_O2.jpg.webp)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유튜브 채널 ‘장르만 여의도’ 캡처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 최근 자신이 소셜미디(SNS)에서 “쓰레기차가 가고 분뇨차가 오는 상황”이라는 글을 쓴 것에 대해 “누군가를 특정한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재판 고의 지연’ 의혹을 거론한 게 아니냐는 일각의 추측에 대한 답변이다.
이 의원은 23일 YTN라디오 ‘뉴스파이팅’에 출연해 해당 표현에 대해 “상투적인 표현이자 관용적인 어구”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의원은 “‘쓰레기차’는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윤석열 정부의 현 상황을 표현한 것”이라면서 “그 다음에 오는 게 ‘분뇨차’가 아니었으면 좋겠다는 건 (차기 대통령이) 더 안 좋은 사람이면 안 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반헌법적인 대통령의 계엄 뒤에 오는 지도자는 적어도 헌법을 준수하고 수호할 의지가 있는 사람이어야 하지 않겠느냐, 이 정도의 개괄적이 이야기”라면서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가장 화가 많이 나신 분들, 또는 가장 긁힌(논쟁에서 논리적으로 밀려 화가 난 상태를 표현하는 인터넷 표현) 분들이 이 대표의 지지자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그러면서도 이른바 ‘쓰레기차·분뇨차 이론’을 강조하며 “윤 대통령보다 더 나은 정치인이 다음에 대한민국을 이끌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의 가장 안 좋은 부분이 법률가로서 누군가를 악마화할 때 권력과 기술을 최대한 활용하고, 본인이 비판받을 때가 되니 ‘법꾸라지’같은 양태를 보인다는 것”이라면서 “이 대표도 당연히 변호사고 법률가이지만 마찬가지 행태를 보이면 똑같이 비판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7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투표한 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과 인사하고 있다. 2024.12.7 홍윤기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15/SSC_20241215232157_O2.jpg.webp)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7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투표한 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과 인사하고 있다. 2024.12.7 홍윤기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15/SSC_20241215232157_O2.jpg.webp)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7일 오후 국회 본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투표한 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과 인사하고 있다. 2024.12.7 홍윤기 기자
“보수 정당 대표로 승리한 경험, 나밖에 없다”이 의원은 또 “승리해 본 경험을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 쓰고 싶다”면서 조기 대선이 실시될 경우 출마할 의사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했다.
이 의원은 “2016년 이후 선거에서 단일화 같은 게 없이 3자 구도에서 ‘3구도’에 해당하는 사람이 당선돼 본 사람은 동탄의 이준석밖에 없다”면서 “양자 구도에 편입되지 않으려는 용기 있는 모습에 대해 동탄 지역 유권자들이 지지를 보내주셨다고 판단한다. 조기 대선이 치러져도 비슷한 관점에서 접근하면 답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근혜 전 대통령 이후에 보수 정당의 당 대표를 지내면서 전국 단위 선거의 승리를 경험한 사람은 또 이준석밖에 없다”면서 “변화를 만들고 또 승리해 본 경험이라는 건 중요하다. 내가 어리다고 경험이 부족한 게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이 의원은 지난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항소심 결과를 거론하며 이 대표를 향해 “대북송금 재판에 법관 기피 신청까지 하는 것은 어떻게든 시간을 끌고 선거를 치러서 헌법상의 특권을 노리고 지연전술을 펼치는 것이며, 이런 시도 자체가 반헌법적”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어 “반헌법적인 계엄을 양분삼아 반헌법의 또다른 씨앗이 싹트게 되면 대한민국은 헌법이 유린되는 것”이라면서 “쓰레기차 가고 분뇨차 오는 상황이라고 비유할 상황이 올까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최근 BBC코리아와의 인터뷰에서 “내년 3월이면 내가 만40세가 되며, 조건만 맞는다면 대선에서 역할을 할 의향이 있다”면서 조기 대선에 출마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