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한미연합훈련을 하루 앞둔 27일 북한의 연평도 도발과 관련한 중국의 반응에 외교가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한국과 미국 등 국제사회가 중국 정부에 북한의 도발적 태도를 바꾸도록 압박하라고 촉구하고 있는 가운데 한미연합훈련이 중국의 향후 행보를 가늠할 계기가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중국은 한미연합훈련이 동북아시아에서 긴장을 고조시키고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로 판단하고 반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앞서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5일 정례브리핑에서 한미연합훈련과 관련해 “관련 보도를 보고 있으며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사실상 우려의 뜻을 밝혔다.
또 양제츠(楊潔지<兼대신虎들어간簾>) 중국 외교부장이 26일 예정됐던 한국 방문을 갑자기 연기한 배경에는 한미연합훈련에 대한 항의의 표시가 담겨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따라 한미연합훈련을 둘러싸고 당분간 한국,미국과 중국이 신경전을 벌이면서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일각에서는 중국이 천안함 사태의 경우처럼 한미연합훈련에 강하게 반발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된다.
중국은 천안함 사태 이후 한미연합훈련에 맞대응하는 차원에서 지난 9월 서해에서 실탄훈련을 포함한 해상훈련을 벌이는 등 강력히 반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사태의 경우 북한의 도발이라는 사실이 천안함 사태보다 명확하고 러시아 등 국제사회의 압박도 크기 때문에 중국으로서는 수위를 조절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양제츠 외교부장이 26일 지재룡(池在龍) 주중 북한대사를 만나 한반도문제를 논의하고 중국의 환구시보가 이날 연평도 포격사태를 거론하며 “북한은 사실상 독약을 마신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비난한 것은 중국의 고민스런 입장을 반영한 것이라는 관측이다.
외교소식통은 27일 “중국은 한반도의 안정적인 현상관리라는 측면에서 북한을 완전히 고립시키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며 “한국 정부로서는 천안함 사태보다 북한을 국제적으로 규탄할 명분이 크기 때문에 유리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외교통상부도 24시간 운영되는 비상종합상황실을 계속 가동하는 한편 동북아시아국,한반도평화교섭본부 등 관련부서의 일부 직원들이 출근해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사태가 발생한 지 며칠 되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의 반응을 예단하기 어렵다”며 “좀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외교부는 연평도 도발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 논의가 다음 주에는 가닥이 잡힐 것으로 예상하고 국제사회의 기류에도 주목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과 미국 등 국제사회가 중국 정부에 북한의 도발적 태도를 바꾸도록 압박하라고 촉구하고 있는 가운데 한미연합훈련이 중국의 향후 행보를 가늠할 계기가 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중국은 한미연합훈련이 동북아시아에서 긴장을 고조시키고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한 의도로 판단하고 반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앞서 훙레이(洪磊)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25일 정례브리핑에서 한미연합훈련과 관련해 “관련 보도를 보고 있으며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사실상 우려의 뜻을 밝혔다.
또 양제츠(楊潔지<兼대신虎들어간簾>) 중국 외교부장이 26일 예정됐던 한국 방문을 갑자기 연기한 배경에는 한미연합훈련에 대한 항의의 표시가 담겨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따라 한미연합훈련을 둘러싸고 당분간 한국,미국과 중국이 신경전을 벌이면서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일각에서는 중국이 천안함 사태의 경우처럼 한미연합훈련에 강하게 반발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된다.
중국은 천안함 사태 이후 한미연합훈련에 맞대응하는 차원에서 지난 9월 서해에서 실탄훈련을 포함한 해상훈련을 벌이는 등 강력히 반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사태의 경우 북한의 도발이라는 사실이 천안함 사태보다 명확하고 러시아 등 국제사회의 압박도 크기 때문에 중국으로서는 수위를 조절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양제츠 외교부장이 26일 지재룡(池在龍) 주중 북한대사를 만나 한반도문제를 논의하고 중국의 환구시보가 이날 연평도 포격사태를 거론하며 “북한은 사실상 독약을 마신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비난한 것은 중국의 고민스런 입장을 반영한 것이라는 관측이다.
외교소식통은 27일 “중국은 한반도의 안정적인 현상관리라는 측면에서 북한을 완전히 고립시키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며 “한국 정부로서는 천안함 사태보다 북한을 국제적으로 규탄할 명분이 크기 때문에 유리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외교통상부도 24시간 운영되는 비상종합상황실을 계속 가동하는 한편 동북아시아국,한반도평화교섭본부 등 관련부서의 일부 직원들이 출근해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사태가 발생한 지 며칠 되지 않았기 때문에 중국의 반응을 예단하기 어렵다”며 “좀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외교부는 연평도 도발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 논의가 다음 주에는 가닥이 잡힐 것으로 예상하고 국제사회의 기류에도 주목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