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독도수호’ 어떤 계획 있나

軍, ‘독도수호’ 어떤 계획 있나

입력 2012-08-12 00:00
업데이트 2012-08-12 1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 2회 군ㆍ경 합동훈련-울릉도 전진기지 건설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을 계기로 우리 군이 유사시 어떤 독도 방어 계획을 갖고 있는지 새삼 관심이다.

군 관계자들은 이에 대해 12일 극도로 말을 아끼는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군 고위 관계자는 “독도 문제를 군사적 측면에서 부각시킬 필요가 없으며 군사적으로 해결될 일도 아니다”면서 “군은 기본적으로 대비계획을 발전시키는 데 지혜를 모으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 군은 유사시 우리 영토인 독도를 방어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매년 발전시켜 왔다.

군은 매년 상ㆍ하반기 한 차례씩 육ㆍ해ㆍ공군과 해경이 참가하는 독도방어 합동훈련을 하고 있다.

이 훈련은 가상 적성 선박이 독도 영해를 침범하는 것을 상정해 정보 입수 단계부터, 상황 전파, 식별을 거쳐 해군과 해경, 공군이 합동작전을 펼쳐 퇴각시키는 시나리오로 진행되고 있다.

해군의 동해 1함대사령관이 주관하는 훈련에는 3천200t급 한국형 구축함과 1천800t급 호위함, 1천200t급 잠수함, 해상초계기(P-3C), 전투기, 3천t급 해경 경비함 등이 참가한다.

전투행동반경이 1천800㎞에 이르는 최신예 F-15K 전투기는 2008년부터 동원됐으나 이지스 구축함은 아직 투입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올해는 지난 2월에 이어 다음 달 초에 훈련이 진행된다. 이지스 구축함이 처음 투입되는 등 훈련 규모가 확대될 것이란 관측도 많지만 해군 측은 훈련 계획이 수립 단계에 있다고 조심스러운 반응을 나타냈다.

독도방어 합동훈련은 기본적으로 1함대 전력이 주축이 되기 때문에 원거리 작전능력 배양에는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것이 군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유사시 ‘헬기포트’로 이용할 수 있는 1만t급 이상의 대형 수송함이 적어도 2척 이상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해군은 1만4천500t급의 독도함 1척을 운용 중이다.

특히 공군의 주력 전투기가 항속 거리가 짧아 독도 상공에서 장시간 작전할 수 없다는 것도 대형 수송함의 추가 건조 논리로 작용하고 있다. 원거리 작전 때 대형수송함에 탑재된 상륙헬기로 전투기의 한계가 있는 작전 공백을 메우자는 논리이다.

연료를 가득 채우고 완전 무장을 했을 경우 KF-16은 독도 상공에서 5~10여분, F-15K는 30여분 작전할 수 있는 등 전투기 단독 원거리 작전 능력은 제한된다. 공군이 공중 급유기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와 함께 군은 독도 인근에서 신속 작전 능력을 갖추도록 울릉도 사동항에 전진 기지를 건설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현재 유사시 해군 함정이 경북 울진 죽변항이나 동해항에서 출발해 독도에 가장 일찍 도착할 수 있는 시간은 각각 4시간1분, 4시간26분으로 추산되고 있다. 반면 일본은 오키섬에서 출동하면 독도까지 2시간50분, 시마네현 에토모항에서 출발하면 3시간18분 만에 도착할 것으로 군은 추정하고 있다.

일본은 독도 문제와 관련, 유사시 혼슈 서쪽 마이즈루에 있는 기동함대 격인 제3호위대군 본대를 출동시킨다는 계획을 세워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제3호위대군에는 기본적으로 헬기탑재 구축함(DDH) 1척과 유도탄 장착 구축함(DDG) 2척, 구축함(DD) 5척 등이 배치되어 있다.

울릉도 사동항에 2015년까지 3천520억원이 투입되어 해군 전진기지가 건설되면 신속 대응 능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군은 전망하고 있다.

이 기지에는 올해부터 2018년까지 해군에 인도되는 차기호위함(FFXㆍ2천300~2천500t급)과 고속정 등이 배치될 것으로 알려졌다.

FFX는 현재 해군에서 운용 중인 호위함과 초계함을 대체하는 함정으로 유도탄 방어 무기가 탑재되며, 올해 1번함을 시작으로 20여척이 건조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