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친 파병 ‘악연’, 朴대통령 호찌민묘서 치유 시도

선친 파병 ‘악연’, 朴대통령 호찌민묘서 치유 시도

입력 2013-09-09 00:00
업데이트 2013-09-09 16: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베트남 ‘과거사 언급’은 피해…상호 ‘실사구시’ 추구한듯

박근혜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 방문은 아세안 회원국가 중 처음이라는 점 외에도 박 대통령과 베트남 사이에 얽힌 직·간접적인 ‘인연의 고리’로 각별한 관심을 끌었다.

베트남전은 베트남 현대사에서 지울 수 없는 장면 중 하나인데, 박 대통령의 선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이 1964년 베트남전 파병을 결정함으로써 두 나라가 한때 ‘불편한 관계’에 놓였던 적이 있어서다.

박 전 대통령은 1966년 한국군 베트남전 증파의 선행조건으로 미국으로부터 차관 제공 약속은 물론 전쟁물자 및 용역의 한국 제공, 한국군 장비 현대화 지원 등을 약속받았다. 그러나 한국의 경제 자립 기반조성에 기여한 베트남전의 이면에는 많은 베트남인들의 희생이 있었던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이 때문에 베트남을 국빈방문한 박 대통령이 이번 기회를 통해 선친과 베트남간 ‘과거’에 대해 언급할지가 주목됐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지난 7일(현지시간) 밤 하노이에 도착한 뒤 공식석상에서 과거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향후 20년간을 내다보며 공동번영을 이루자”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베트남 역시 한국과 경제협력의 중요성을 감안한 듯 민감한 과거사 문제는 언급하지 않는 등 ‘실사구시’적인 태도를 보였다.

실제 베트남 현지사정에 익숙한 외교관들과 교민들의 전언에 따르면 베트남은 그동안 ‘과거사’ 문제에 대해 특별히 문제삼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이런 가운데 박 대통령이 9일 베트남의 독립과 통일의 선봉장이었던 호찌민 전 주석을 기념하기 위한 호찌민 묘소를 참배한 것은 의미가 적지 않다는 관측도 나온다.

묘소 안에는 베트남 전쟁이 한창이던 1969년 9월2일 심장병으로 숨진 호찌민의 시신이 방부처리된 상태로 유리관 내에 보관돼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광장 오른편에서 승용차에서 내려 수행원들과 200m 가량을 걸어 묘소로 이동했다. 이어 응웬 티 하이 쮜엔 노동보훈사회부장관과 함께 ‘대한민국 대통령 박근혜’라고 적힌 리본을 조화에 붙이며 예의를 표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일행과 함께 묘소 안으로 들어가 잠시동안 묵념한 뒤 묘소를 나왔다.

한국 대통령이 호찌민 묘소에 헌화한 것은 지난 1998년 12월 김대중 전 대통령과 2004년 10월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세 번째다.

김 전 대통령의 경우 묘소입구에서 헌화하는데 그쳤지만, 노 전 대통령은 헌화한 뒤 묘소 내부 2층으로 올라가 유리관 속에 안치된 호찌민 시신을 살펴보고 약 10초간 간단히 목례한 적이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