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고위급 군축·비확산협의회 17일 워싱턴서 개최

한미 고위급 군축·비확산협의회 17일 워싱턴서 개최

입력 2015-12-15 17:16
수정 2015-12-15 17: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핵·내년 핵안보정상회의 성공 개최 방안 등 협의”

한미 고위급 군축·비확산협의회가 오는 17일 워싱턴D.C.의 미국 국무부에서 열린다고 외교부가 15일 밝혔다.

한미 양국은 군축·비확산 현안과 범세계적 안보 문제에 대한 상호 이해 제고와 협력 강화를 위해 2013년부터 고위급 협의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번 협의회에 우리 측에서는 신동익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이, 미측에서는 로즈 가트묄러 국무부 군비통제·국제안보 차관이 수석대표로 참석한다.

외교부는 북핵 및 이란 핵문제, 수출통제체제 등 군축·비확산 분야 주요 현안, 우주, 보건 및 생물안보 등 글로벌 안보이슈에 대해 폭넓은 의견 교환이 있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내년 워싱턴D.C.에서 열리는 제4차 핵안보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 방안과 내년 12월 우리 외교부장관의 IAEA(국제원자력기구) 핵안보 국제회의 의장 수임, 2016~2017년 원자력공급국그룹(NSG) 및 미사일기술통제체제(MTCR) 의장국으로서의 우리나라의 활동방향에 대해서도 협의할 예정이라고 외교부는 전했다.

신 조정관은 방미시 뱃시버 크로커 국무부 국제기구 차관보 및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와도 면담을 가질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