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란 유로화 결제시스템 조기 구축될까

[단독] 이란 유로화 결제시스템 조기 구축될까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6-06-01 22:48
업데이트 2016-06-01 23: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일 한·미 재무장관회의서 논의… 對이란 교역 큰 걸림돌 제거 기대

국내 기업의 이란 시장 진출에 가장 큰 선결 과제로 인식돼 온 유로화 결제시스템 구축 여부가 이번 주중 판가름 난다. 이란에 대한 미국의 금융 제재가 3일 열리는 한·미 재무장관 회의에서 다뤄지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1일 “2일부터 사흘 동안 한국을 방문하는 제이컵 잭 루 미국 재무장관과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회의에서 양국의 경제, 금융협력, 주요 20개국(G20)에서의 정책공조 강화 방안 등이 논의된다”면서 “현재 이란과의 교역에서 가장 큰 걸림돌인 미국의 금융 제재도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다”고 말했다.

지난달 박근혜 대통령의 이란 방문으로 한국과 이란은 모두 456억 달러(약 52조원) 규모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하지만 조선 및 건설 등 우리 기업들이 이란과 거래할 수 있는 규모는 3조~4조원대로 알려진 이란 중앙은행 명의의 국내 원화 계좌의 규모로 제한돼 있다.

정부 관계자는 “당장은 이란 중앙은행 명의의 원화 계정으로 사회간접자본(SOC) 등 투자가 충분한 규모”라면서도 “하지만 이란이 유로화를 선호하고, 양국 간 교역 규모가 점점 더 커지면 감당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이란 진출을 타진하고 있는 조선 및 건설업체들은 정부에 유로화 결제시스템 조기 구축을 요구해 왔다. 조선업계는 이미 이란과 3조원대 MOU를 체결한 상태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6-06-02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