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核 제재·대화 병행 공조”…한미 안보사령탑 원칙적 합의

“北核 제재·대화 병행 공조”…한미 안보사령탑 원칙적 합의

한준규 기자
입력 2017-06-02 22:26
업데이트 2017-06-03 0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의용 실장, 맥매스터와 백악관서 회동…정 “환경평가로 사드 배치 시간 더 걸려”

미국을 방문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1일(현지시간) 허버트 맥매스터 미국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과 백악관에서 1시간 30분가량 회동했다.

배석자들에 따르면 두 사람은 대북 제재와 압박 공조를 이어 가면서 비핵화 대화의 통로를 마련할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으며, 이와 관련해 대화와 제재·압박을 병행하면서 조속히 실마리를 찾자는 데 공감했다.
이미지 확대
이달 말 개최되는 한·미 정상회담 준비차 미국을 방문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1일(현지시간) 워싱턴 인근 버지니아주 덜레스 국제공항 입국장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버지니아 연합뉴스
이달 말 개최되는 한·미 정상회담 준비차 미국을 방문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1일(현지시간) 워싱턴 인근 버지니아주 덜레스 국제공항 입국장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버지니아 연합뉴스
이달 하순으로 예정된 정상회담의 의제는 한·미 동맹 강화와 북핵 해법, 무역 문제 등으로 정리했다.

정 실장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발사대 추가 반입 보고 누락에 대한 조사 배경과 상황을 자세히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으며 맥매스터 보좌관은 “설명해 줘서 고맙다”고 답했다. 맥매스터 보좌관은 “(정상회담 시) 최대한 예우를 갖추겠다. 한·미 관계를 중시하고 한·미 관계에 최선을 두고 ‘풀 프로그램’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정 실장은 미국 덜레스 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드 배치와 관련, “환경영향평가를 철저하게 하려면 우리가 애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추가 사드 배치가 상당 부분 늦어질 것임을 시사했다. 민주당 딕 더빈 상원의원이 문재인 대통령을 만나 ‘사드 배치 철회가 가능하다’는 의사를 밝혔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그렇게 얘기하지는 않았다”고 부인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문제의 사드 발사대 4기 반입 관련 대화 논란이 “뉘앙스 차이”로 빚어졌고, 큰 문제가 없었다는 취지로 설명한 데 대해서는 “그 문제는 조사하고 있고 되풀이할 필요는 없다. 국민소통수석이 설명한 이상 말하긴 그렇다”고 말했다.

그는 사드 1개 포대가 발사대 6기로 구성돼 있는 만큼 나머지 4기도 당연히 국내에 반입된 것으로 이해돼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당연히 들어와 있다고 볼 수는 없다”면서 “(6기가) 한 세트로 돼 있다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나, 나를 포함한 국민 대부분은 6기 중 2기만 실전 배치되고 나머지 4기는 추후 반입될 것으로 알고 있었던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7-06-03 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